감사 결과, 총 5개 시설 12건 부적정 집행 적발해

시 감사위원회는 11월4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특정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부산시 
시 감사위원회는 11월4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특정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 감사위원회(위원장 윤희연)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특정감사 결과’를 11월4일 발표했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의 자립과 자활을 돕기 위해 취업 기회와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2023년 기준 시역 내 43곳이 운영 중이며 연간 147억원을 지원 중이다. 

감사위원회는 4월8일부터 5월31일까지 37일간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7곳의 지도감독 기관인 6개 구·군을 대상으로 2021∼2023년까지 최근 3년간 재정지원금 426억원의 집행·관리 등 시설 운영 전반을 점검했다. 특히 시설장 등 공개채용 절차 준수 여부와 시설 운영 수익금 집행 적정성 등에 중점을 뒀다.

감사 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5곳에서 12건의 위법·부당사항을 확인했다. 주요 감사 지적사항은 다음과 같다.

감사위원회는 총 12건의 지적사항에 대해 해당 구·군에 시정·주의·통보 및 수사 의뢰 등 조치를, 관련 공무원 11명에 대해 훈계 등 신분상 조치를 요구했다.

인건비를 부적정하게 집행한 2곳에 대해서는 약 3900만원의 회수 조치를 요구했고 수익금 지출 증빙이 부적정한 건은 수사 의뢰를 요구했다. 또 사업비를 사업계획 변경승인 없이 부적정하게 집행한 데 대해 지 도·감독을 소홀히 한 직원 등에게 신분상 훈계 조치를 요구했다.

윤희연 부산시 감사위원장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근로 기회를 제공하고 자활을 도모하기 위해 운영되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재정지원금이 내실 있고 투명하게 집행되도록 사후관리를 강화하겠다. 이후 위원회는 시 재정지원사업의 사각지대를 꾸준히 발굴해 부정수급을 근절하고 재정 효율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더 자세한 감사 결과 내용은 시 누리집 내 감사실시 결과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