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도시브랜딩과 마케팅, 디자인 전문가 참석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브랜딩 방안 모색

시는 11월4일 '2024 부산 세계 도시브랜드 포럼'을 열었다. /자료제공=부산시 
시는 11월4일 '2024 부산 세계 도시브랜드 포럼'을 열었다. /자료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11월4일 오후 2시 누리마루 에이펙(APEC) 하우스에서 ‘2024 부산 세계 도시브랜드 포럼(WCBF)’을 개최했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에서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브랜딩하다’ 주제로 세계적 도시브랜드, 마케팅, 디자인 전문가들이 함께 머리를 맞댔다. 

포럼 1부에서 ‘글로벌 도시브랜드 지수로 본 부산의 미래와 과제’를 주제로 부산의 도시브랜드 위상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기조연설에서는 국가브랜드 용어의 창시자인 사이먼 안홀트(Simon Anholt)가 ‘좋은 도시와 브랜딩을 위한 관리 지표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어, 세계 4대 컨설팅기업인 커니(Kearney)의 루돌프 로메이어(Rudolph Lohmeyer)가 ‘도시경쟁력 평가방법과 주요 글로벌 도시의 혁신사례’에 대한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박형준 부산시장도 직접 연사로 나서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한층 높아진 부산의 도시브랜드 위상을 소개하며, 부산의 과거와 현재를 평가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지수(Global Hub City Index)’를 발표했다. 

2부에서는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도시디자인과 인프라의 역할’을 주제로 부산의 도시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토마스 가비(Thomas Garvey) 세계디자인기구(World Design Organization) 회장은 ‘일류 글로벌 도시의 도시브랜딩과 도시디자인의 역할’을 고든 브루스(Gordon Bruce) 디자이너는 ‘부산의 디자인 혁신을 위한 한국에서의 경험과 제언’을 소개했다. 

이후 엠마뉴엘 투안(Emmanuel Thouan) 프랑스산업디자인진흥원(APCI) 회장은 ‘미술관이 바꾼 국제도시 파리의 도시브랜드 경쟁력’을 미조카미 마사카츠 다케오시립도서관장은 ‘혁신적 랜드마크 조성을 통한 도시브랜딩 성공사례’를 발표했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는 나건 시 총괄디자이너를 좌장으로 2부 발표자들과 함께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으로 나아가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외에도, 부대행사로 11월5일 동서대학교 디자인 전공 학생들과 함께 하는 디자인 토크쇼와 시청 1층 들락날락 도서관에서 다케오 시립도서관장의 초청 강연이 마련됐다. 토마스 가비, 고든 브루스, 엠마뉴엘 투안 등 이번 포럼의 디자인 분야 주요 연사들이 동서대학교를 방문해 학생들과 세계적 미래 디자인 관련 이야기를 나눴다. 

시청 1층 들락날락 강연회는 미조카미 마사카츠가 참가해 ‘혁신적 도서관을 활용한 도시브랜딩을 강연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작년에 새롭게 제작된 도시브랜드 ‘Busan is good’과 함께 부산의 도시 브랜드 위상은 유례없이 상승하고 있다.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에 어울리는 품격 있는 도시디자인을 구축하겠다. 부산의 과거와 현재를 평가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지수를 구축하고 세계적 평가지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정책 수립과 평가의 근거로 활용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