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Weeks of flooding across Nigeria had led to 229 deaths and displaced more than 386,000 people. Floodwaters that gushed from an overflowing dam in northern Nigeria engulfed a zoo and swept animals including crocodiles and snakes into communities.
Extreme rainfall event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frequency and intensity across almost all of Africa, including Nigeria, as human-caused climate change heats the planet.
Entering the city of Feni in southeast Bangladesh, it had become clear why it was described as the epicenter of one of the country’s worst floods in living memory. Water had inundated 11 districts, and large swathes of the city of nearly 1.5 million people were submerged.
Scientists said the human-caused climate crisis had exacerbated extreme weather events and made them more deadly on heavy flooding occurring across South Asia in recent months.
Europe is the world’s fastest-warming continent and global heating is fueling extreme weather events there. A warmer atmosphere can hold more water vapor, meaning more intense rain when it falls, and hotter oceans whip up stronger storms.
Even after a hurricane’s immediate flooding threat goes away, we could face a host of potential health problems from the water.
Floodwater is more than just rain. It’s often contaminated with sewage, bacteria and chemicals. Sharp objects made of metal or glass can also hide in the murky water.
Exposure to floodwater contaminated with sewage can irritate the skin, leading to boils or rashes, particularly on parts of the body that are submerged for any extend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environmentalist Wilma Subra.
Although brief skin contact with floodwater shouldn’t be a problem, even a minor cut or scrape can be an entry point for harmful bacteria and viruses. Chemicals in floodwater can also cause rashes and burn the skin and the eyes after exposure.
Considering the health problems caused by floods like this, floods should not be viewed simply as a climate disaster.
[한글 요약본]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건강 문제들
나이지리아 전역에서 몇 주 동안 홍수가 발생하여 229명이 사망하고 38만6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나이지리아 북부가 홍수로 가장 큰 피해를 보았으며, 범람한 댐에서 쏟아져 나온 홍수로 동물원이 집어삼켜져 악어와 뱀을 포함한 동물들이 마을로 휩쓸려 들어왔다,
인간이 일으킨 기후 변화로 인해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나이지리아를 포함한 거의 모든 아프리카 전역에서 극심한 강우 현상이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글라데시 남동부에 있는 페니(Feni)시에 들어서면 왜 이곳이 방글라데시 최악의 홍수 중 하나의 진원지로 묘사되는지가 분명해진다. 11개 지역이 물에 잠겼고, 거의 150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의 많은 지역이 물에 잠겼다.
최근 몇 달 동안 남아시아 전역에서 일어난 극심한 홍수에 대해 과학자들은 인간이 초래한 기후 위기가 극단적인 가상 현상을 악화시키고 더 치명적으로 만들었다고 말한다.
유럽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대륙이며, 지구 온난화는 유럽의 극단적인 기상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따뜻한 대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는 비가 내릴 때 더 강한 비가 내린다는 것을 의미하며, 더 뜨거운 바다는 더 강한 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
즉각적인 홍수 위협이 사라진 후에도 우리는 물로 인한 잠재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홍수는 단순한 비 이상인데, 하수, 박테리아 및 화학 물질로 오염되어 있다. 금속이나 유리로 만든 날카로운 물체도 탁한 물에 숨어 있을 수 있다.
하수로 오염된 홍수 물에 노출되면 피부가 자극을 받아 종기나 발진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물에 잠긴 신체 부위에 발진이 생길 수 있다.
무엇보다 가벼운 상처나 긁힌 상처도 해로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진입점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홍수 속의 화학 물질은 또한 노출 후 발진을 일으키고 피부와 눈에 화상을 입힌다.
이렇게 홍수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 문제들을 고려해 볼 때, 홍수를 단순히 기후재앙으로만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