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선진적 환경관리 방식 전환 촉진 기대

[환경=환경일보] 박인석 기자 = 영산강유역환경청(청장 김영우)은 12월 5일(목) ㈜포스코 광양제철소(전남 광양시 소재)에서 포스코 광양제철소 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2기)를 구성하고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하였다.
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는 통합허가사업장인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전문기관을 통해 자율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 결과를 영산강청 및 관계기관등과 공유함으로써 자율적 환경관리 역량을 높이고자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위원회는 영산강청 환경관리국장을 위원장으로 관계기관(전남도, 광양시), 전문가 3인(한국환경공단, 교수 등)등 총 7인으로 구성·운영된다.
통합환경관리제도는 대기·수질·폐기물 등 환경매체별로 분산된 환경 인허가를 하나로 통합해 대형사업장 허가기관을 환경부로 일원화하여 사업장별로 업종의 특성과 환경영향을 반영한 맞춤형 허가기준을 설정하고 5년마다 허가사항을 재검토하는 제도이다.
제1기 자율이행관리 협의회 추진 성과로는 대기·수질·폐기물등 분야에서 자체개선조치, 통합허가 조건 이외 추가 개선 사항(밀폐형 부스 설치를 통한 비산먼지 저감) 도출, 전문가 등과 환경 기술 정보공유(섬유형 촉매필터를 활용한 NOx/먼지 동시 저감 기술) 등이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통합허가조건 이행사항 공유(영산강유역환경청), 환경투자계획 발표 및 이행실적 보고(포스코), 자율 진단한 환경관리 개선 사항 공유(전문기관), 전문가 및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했다.
최재웅 환경관리국장은 “사업장의 자율관리 역량을 높이는 이행관리 협의회가 다른 업종이나 사업장까지 공유·확산해가길 바라며, 이를 위해 환경부는 기업들과의 소통을 통해 다양한 지원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