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현종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권현종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권현종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환경일보] Крупнейшее в мире пресноводное озеро, расположенное на юге Сибири, Россия, славится своей самой большой глубиной и выдающимися природными пейзажами.

Озеро образовалось на месте тектонического разлома земной коры. По бурятским легендам, из появившейся после содрогания земли трещины вначале пылал огонь. Только после криков «Бай, гал!», означающих «Огонь, остановись!», пламя стало затухать. Постепенно трещина заполнилась пресной водой — так появился Байкал.

В Байкал впадает больше 300 крупных рек, мелких речушек и водотоков. Почти половину воды Байкалу приносит река Селенга. А вытекает из озера всего одна река — Ангара.

Зимой «Сибирское море» замерзает почти целиком за исключением участка, откуда воды озера уходят в Ангару. Озеро под прозрачным ледовым покровом поражает красотой и привлекает не меньше туристов, чем летом. Толщина льда может достигать полутора-двух метров.

Однако озеро страдает от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ущерба из-за измене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неправильной эксплуатации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отходов, оставшихся после закрытия Байкальского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го комбината, и других причин. Эксперты предупреждают, что состояние озера ухудшается. Качество воды меняется, и целые экосистемы находятся под угрозой исчезновения. Регулирование местного бизнеса и туризма может помочь сохранить наше природное наследие.

Около Байкала нет аэропортов, поэтому лететь придётся до ближайших городов — Иркутска или Улан-Удэ. От них уже можно доехать до озера на такси, автобусе или поезде. Через Иркутск и Улан-Удэ также проходит Транссибирск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магистраль. Дорога из Москвы до Иркутска на поезде займёт около трёх суток, а до Улан-Удэ — около четырёх.

[한글 번역본]

12층 건물 높이에서 바닥이 보이는 바이칼호: 보존은 우리의 몫

러시아 시베리아 남부에 있는 세계 최대 담수호는 세계에서 수심이 가장 깊고, 호수의 자연경관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이 호수는 지구 지각 단층 지점에서 형성되었다. 부랴트족의 전설에 따르면, 땅이 흔들린 후 생긴 균열에서 불이 처음 났다고 전해진다. "바이, 갈!", 즉 "불이야, 멈춰!"라는 소리 이후에야 불길이 꺼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점차 균열은 깨끗한 물로 채워졌고, 바이칼 호수가 탄생되었다고 한다.

300개가 넘는 큰 강, 작은 개울, 수로가 바이칼 호수로 흘러든다. 바이칼 호수의 물의 절반가량은 셀렌가 강에서 흘러 들어온다. 호수에서 흘러나오는 강은 앙가라 강 하나뿐이다.

겨울에는 시베리아해가 거의 완전히 얼어붙지만, 호숫물이 앙가라 강으로 흘러드는 지역은 예외다. 투명한 얼음 덮개 아래의 호수는 눈부시게 아름다워서 여름철에 수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은다. 얼음의 두께는 1.5~2m에 달한다.

그러나 수위 변화, 처리 시설의 부적절한 운영, 바이칼 펄프 및 제지 공장 폐쇄 이후 남겨진 폐기물 및 기타 원인으로 호수에는 잦은 환경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호수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다고 경고한다. 물의 질이 변하고 있으며, 생태계 전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지역 기업과 관광을 통제하면 자연 유산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바이칼 근처에는 공항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도시인 이르쿠츠크나 울란우데로 가는 항공편을 이용해야 한다. 그곳에서 택시, 버스 또는 기차를 타고 호수로 갈 수 있다. 시베리아횡단철도는 이르쿠츠크와 울란우데를 통과한다. 모스크바에서 이르쿠츠크까지는 기차로 약 3일이 걸리고, 울란우데까지는 약 4일이 걸린다.

권현종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모스크바대학교 정치학 박사
러시아인물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