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육능력검정, 체형심사, 돈군 유전체 분석 등 가축 개량 사업 지원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올해 양돈 산업 발전을 위해 61억 원을 투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양돈농가의 소득 증대와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며,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포함한다.
경기도는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돼지 사육규모를 자랑하며, 지난 15년간 '양돈산업 경쟁력 강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올해는 도비 약 11억 원을 확보하여 총사업비 61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는 전년도 대비 164% 증가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번 사업은 유전능력이 우수한 종돈 공급을 목표로 하며, 산육능력검정, 체형심사, 돈군 유전체 분석 등 다양한 가축 개량 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노동력 절감과 농가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필요한 시설과 장비도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포유모돈급이기 장비를 시범적으로 도입하여 각 개체를 식별하고 사료량을 제어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령화에 대비한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는 축산업의 스마트 장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낙뢰 및 전기 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재예방장치 지원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의 냉방기와 안개분무기 등 양돈농가에서 선호하는 시설과 장비는 그대로 지원하되, 농가의 실질적인 요구와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여 사업 내용을 보완했다.
신종광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돼지고기는 축산업 생산액의 약 35%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도민의 먹거리와 농가 소득에 큰 역할을 해왔다”며, “경기도는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축사 환경 개선을 통해 악취 저감과 동물복지 실현에 앞장서며 양돈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