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이 높은 취약시설 집중적으로 개선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올해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에 625억 원을 투입하여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은 지난해 대비 50억 원이 늘어난 예산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하여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취약시설을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호우와 태풍 등 풍수해뿐만 아니라 폭염과 한파에 대한 대응 사업도 포함되어 있어 그늘막, 쿨링포그, 벽지노선 그린통합쉼터 설치 사업 등을 추진하고, 도 소관 시설은 물론 시군 소관 시설까지 폭넓게 지원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지하차도 자동차단시스템 구축, 하천변 차단기 설치, 반지하 주택 침수감지 알람 장치, 세월교 난간 설치, 지방하천 준설 등 다양한 사업에 532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업들은 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취약시설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선제적 재난대비와 재난상황 관리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첨단 사물인터넷(IoT) 재난감지 센서 및 정보통신기술(ICT) 통제·차단시설에 21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에 구축된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와 감시 장비를 연계하여 재난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설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보도 육교 대설 예방시설에 31억 원을 투입하여 자동염수 분사장치와 소형제설차량을 확충하는 사업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할 예정이다. 기후재난 예방을 위해 벽지노선 버스정류장에 한파와 폭염을 막는 그린통합쉼터를 설치하고, 그늘막과 쿨링 포그 설치에 6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625억 원과 별도로 갑작스러운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 중 300억 원과 재해구호기금 200억 원을 긴급한 재난 상황 발생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기후위기 시대에 도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대응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성중 부지사(재난관리기금 운용심의위원회 위원장)는 “작년 역대급 폭염과 폭설을 경험하면서 2025년도에는 기후 위기를 대비한 예방 사업을 강화했다”며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을 통해 자연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