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기업에서 공급망 전체로 확대··· 탄소 감축 경쟁력 강화

산업부는 탄소감축지원을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전체로 확대하는 새로운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위 사진은 산업부 청사 /사진출처=위키백과
산업부는 탄소감축지원을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전체로 확대하는 새로운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위 사진은 산업부 청사 /사진출처=위키백과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개별 기업 중심이었던 탄소감축 지원을 공급망 전체로 확대하는 새로운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지원’ 사업의 지원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단일 기업이 아닌 산업 공급망에 속한 복수의 기업이 함께 탄소 감축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공급망을 기반으로 한 탄소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7년부터 ‘디지털 제품 여권(DPP)’을 시행해 제품의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공유하도록 하고, 2025년부터는 배터리의 탄소발자국 산정과 공급망 실사를 요구하는 ‘배터리 규정(EUBR)’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수출기업들도 공급망 전체의 탄소 감축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탄소 다배출 업종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은 복수의 협력기업(중소·중견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선정된 컨소시엄은 공정 개선, 설비 교체, 신·증설 등 탄소 감축을 위한 비용을 지원받게 되며, 총사업비의 최대 40% 범위 내에서 1년간 최대 3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강감찬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글로벌 산업 경쟁이 개별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공급망 간 경쟁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공급망의 탄소 감축 역량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사업 규모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