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기온 -0.2℃로 평년보다 0.7℃ 높아

[환경일보]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2025년 1월의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월 전국 평균기온은 -0.2℃로 평년(-0.9℃)보다 0.7℃ 높았고(1973년 이래 14위), 작년(0.9℃)보다는 1.1℃ 낮았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라는 속담처럼, 소한(5일)이 있던 둘째 주에 기온이 크게 떨어졌다가 중순부터 따뜻해져 대한(20일)이 있던 넷째 주에는 기온이 높았다.

1월 초 평년 수준이었던 기온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떨어지면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 대륙고기압이 약화되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라 24일에는 전국 평균 일최고기온이 10.5℃까지 오르는 등 이상고온이 5일이나 발생했다.

2025년 1월 일별 전국 평균기온 시계열 /자료제공=기상청
2025년 1월 일별 전국 평균기온 시계열 /자료제공=기상청

이후 28일부터는 다시 대륙고기압이 강화되면서 기온이 떨어졌다.

1월 기온 변화는 북극진동의 영향이 컸다. 1월 상순 음의 북극진동으로 고위도의 찬 공기가 동아시아로 남하하면서 찬 대륙고기압이 발달했고, 중순 이후 양의 북극진동으로 전환되며 기온이 올랐다.

1월 강수량은 16.8㎜로 평년(26.2㎜)의 68.2% 수준이었으나, 전국 눈 일수는 9.7일로 평년(6.2일)보다 3.5일 많았고(3위), 내린 눈의 양도 14.5㎝로 평년(10.5㎝)보다 4.0㎝ 많았다(12위).

눈은 주로 기온이 낮았던 1월 전반부(1월 3일~16일)와 말경(24~31일)에 집중됐다. 이 시기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서해상에서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돼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린 반면, 동해안과 남해안은 평년보다 적은 강수량을 보였다.

특히, 설 연휴 기간 중(27~29일) 중에 전국적으로 대설 특보가 발표되는 등 수도권 및 충청, 전라 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다. 1월 설 연휴 중에 전국적으로 많은 눈이 온 것은 1973년 이래 처음이다.

폭설로 지붕이 주저앉은 전북 진안군 비닐하우스 /사진제공=농촌진흥청
폭설로 지붕이 주저앉은 전북 진안군 비닐하우스 /사진제공=농촌진흥청

1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온도는 12.1℃로 최근 10년(2016~2025년) 평균(11.9℃)보다 0.2℃ 높았다(최근 10년 중 4위).

해역별로는 서해가 7.9℃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8℃ 높았고, 동해는 13.3℃로 0.1℃ 낮았고, 남해는 15.0℃로 0.1℃ 낮았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1월 설 연휴 동안 한파와 많은 눈으로 국민들께서 피해와 불편을 겪으셨을 텐데, 이번 주 다시 강한 한파가 찾아오는 등 2월에도 큰 기온 변동이 예상되어 대비가 필요하다”며 “최근 기후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기상청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이상기후 현상을 면밀히 감시해 기상재해로부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우선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