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28만명 목표, 도시공간구조 1도심 5부도심 중심 개편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204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안)을 5일 최종 승인했다. 이 계획은 수원시의 미래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장기 발전 종합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 관리를 위한 정책과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계획의 주요 내용은 2040년 목표 계획인구를 128만 명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는 각종 개발사업과 노후 계획 도시 정비, 통계청 인구 추계 등을 고려한 결과다.
수원시 전체 행정구역 121.09㎢ 중 5.711㎢를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하고, 기존 개발지 56.835㎢는 시가화용지로, 나머지 58.544㎢는 보전용지로 확정했다.
도시 공간 구조는 도시 성장의 유연성, 미래 지향성, 균형 발전과 탄소 중립 도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의 1도심 5부도심에서 1도심 5부도심으로 개편됐다.
생활권은 북수원, 서수원, 남수원, 광교, 화성, 영통 총 6개 권역으로 나뉘며, 각 권역은 문화 복합 콘텐츠 공간 조성, 친환경 스마트 도시 구현, 첨단 자족 도시 지향, 노후 주거환경 개선 등의 발전 전략을 담고 있다.
교통 계획은 국가철도망계획 등 상위 계획 및 관련 계획에서 제시된 도로 및 철도 계획을 반영하고, 탄소 중립을 위한 대중교통 및 친환경 교통수단 확대와 스마트시티 기반의 교통 시스템 구축 계획도 포함됐다.
박현석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 승인과 더불어 경기도에서 추진하는 ‘북수원테크노밸리’를 통해 경기 기회타운과 경기남부 AI 지식산업 벨트를 구축한다”며 “대학별 특성을 고려한 공간과 인적 자원의 활용으로 수원시의 도시 자생력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에 승인된 204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은 2월 중 수원시 누리집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