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집행률 67%보다 8%p 상승

[환경일보] 박정미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건설 경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농업생산 기반 정비 분야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한다고 6일 밝혔다.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는 예산은 1조4541억원으로 2025년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1조9428억원의 75%에 달하는 수준이며, 지난해 상반기의 집행률 67%보다 8%p가 상승한 규모다.
농식품부는 농촌용수개발 1767억원, 배수개선 3639억원, 수리시설 개·보수 5713억원 등을 상반기에 신속하게 집행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는 물론 안전영농과 재해예방 등의 사업효과도 조기에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상습가뭄지역에 안정적인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농촌용수개발은 56개 지구에 2357억원, 저지대 농경지의 침수 예방을 위한 배수개선은 285개 지구에 4852억원, 노후되거나 기능이 저하돼 재해에 취약한 수리시설 보수·보강을 위한 수리시설 개·보수는 645개 지구에 7617억원, 전국에 산재돼 있는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위한 수리시설 유지관리에 156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배수개선의 경우 올해 말까지 13개 지구 1803ha의 논에 다양한 밭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배수시설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논에 콩과 시설하우스 등 타 작물의 재배가 집단화된 47지구 4614ha를 대상으로 설계빈도가 30년 이상으로 상향된 배수시설 설계 기준을 적용해 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재해 대응력을 높이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단, 시설하우스 밀집지역의 경우 설계빈도가 50년 이상으로 상향된 배수시설 설계기준을 적용한다.
아울러 지난달에 각 시·도와 한국농어촌공사에 예산을 배졍했으며, 앞으로 주기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하는 등 집행상황을 꼼꼼하게 살펴 상반기 조기 집행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한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재해로부터 소중한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라며 “안전영농과 재해예방을 위해 농업생산 기반 정비가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