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성장거점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청년 일자리 창출 본격화

지방성장거점 참여부처 및 역할 분담 표 /자료제공=중기부
지방성장거점 참여부처 및 역할 분담 표 /자료제공=중기부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정부가 지방성장거점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지방시대위원회와 6개 관계 부처가 협력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본격적인 정책 추진에 나서기 위한 것으로,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우동기)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교육부(부총리 이주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가 참여했다.

협약은 지방에 산업, 주거, 문화가 결합된 복합공간을 구축하고, 기업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기 위해 관계 부처의 다양한 특구 조성사업과 관련 지원사업의 연계 및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각 부처는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지방성장거점 조성의 성공적인 추진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부처 간 사업 연계를 지원하고, 교육부는 지역 공교육 강화와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을 담당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과 디지털 기업·인재 육성, 연구개발특구 제도를 통해 국가 연구개발 성과를 지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특구를 조성해 지역 문화 창조와 향유 여건을 개선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회발전특구를 통해 기업의 지방투자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는 도심융합특구를 통한 복합공간 조성과 주거·기반시설 지원에 나서며, 중소벤처기업부는 글로벌 혁신특구 운영을 통해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정부와 관계부처는 각자의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협력·연계 사업을 발굴해 다양한 기능의 특구와 지원사업을 적극 연계함으로써 정책의 시너지 효과와 실행력을 높일 계획이다. 교육부는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교육혁신 전략을 추진하고, 문체부는 지역 특색을 반영한 문화특구 지정을 통해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할 예정이다.

도심융합특구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도심융합특구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특구 제도와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을 통해 기술 사업화 및 디지털 신산업 경쟁력 확보에 나서며,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회발전특구를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를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도심융합특구를 통해 교통 요지에 주거와 문화가 결합된 복합공간을 조성하고, 중기부는 글로벌 혁신특구를 지정해 지역 기업의 해외 진출과 신기술 혁신을 지원한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서는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기업 투자와 인재 양성, 정주 여건 개선 정책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필요가 있으며, 이번 협약은 이를 원활히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