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혁신팀, 반도체팀, 미래모빌리티팀, 공간정보팀 등 4개 팀으로 구성

[성남=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성남시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발맞춰 AI반도체과를 신설하며 미래 성장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올해를 ‘AI 글로벌 도시 도약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시정 전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하여 혁신 행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7일 열린 제300회 성남시의회 임시회에서 ‘성남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이 통과되면서 AI반도체과가 공식적으로 신설됐다.
이 과는 AI혁신팀, 반도체팀, 미래모빌리티팀, 공간정보팀 등 4개 팀으로 구성되어 성남시의 핵심 미래 성장 산업 개발을 담당하게 된다.
신 시장은 “대한민국 첨단 산업을 선도하는 성남시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행정 전반에 도입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미래 기술을 적용하고, 일상에 혁신을 일으키는 행정을 펼치겠다”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는 KAIST 성남 AI교육연구시설 착공과 과학고 유치에 매진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인공지능 특허 건수 경기도 1위라는 강점을 살려 지역 기업과 협력하여 AI 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신설된 AI반도체과는 행정업무 자동화와 시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 부서에 생성형 AI를 도입하고, 지속적인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성택 기자
echo@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