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조직 신설, 데이터 표준화 관리 및 대국민 개방 확대

[환경일보]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4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에서 6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등급’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는 3개 영역(공공데이터의 ▷개방‧활용, ▷품질, ▷관리체계)으로 진행됐으며, 평가 대상이 공공기관으로 확대된 2019년부터 공단은 매년 ‘우수 등급’을 이어왔다.

공단은 산재‧고용보험 사업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전담 조직을 신설해 보유 데이터 표준화 관리 및 대국민 개방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특히 2019년도에는 산재 판례정보를, 2022년도에는 업무상질병판정서·심사결정서를 선제적으로 개방해 산재불승인 근로자들이 공공데이터로 유사사례를 손쉽게 검색하고 심사청구 등 권리구제 신청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근로복지공단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4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에서 6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등급’ 기관으로 선정됐다. /자료제공=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4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에서 6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등급’ 기관으로 선정됐다.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작년 10월부터는 국가중점데이터 개방사업의 일환으로 ‘고용·산재보험 가입·완납증명서 진위확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도 추진 중이다.

현재는 각 기관의 계약업무 담당자들이 사업장에서 제출한 고용·산재보험 증명서의 진위 확인을 위해 공단에 문서로 검증 요청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직접 전산으로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어 신속한 업무처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박종길 이사장은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한 사회 현안 해결 및 민간경제 활성화 지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공공기관으로서 이행해야 할 중요한 책무”라면서, “앞으로도 국민 수요에 부합하는 고가치‧고품질 데이터를 적기에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