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광주 초미세먼지 원인 분석 및 맞춤형 관리 대책 제안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경기 북부와 동부 지역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경기도 지역 맞춤 초미세먼지 진단평가(경기 북·동부권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됐으며,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높고 ‘나쁨(36㎍/㎥ 이상)’ 및 ‘매우나쁨(76㎍/㎥ 이상)’ 일수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맞춤형 대책을 도출했다.
경기 북부에서는 김포시, 동부에서는 광주시가 중점 진단 지역으로 선정됐으며, 연구진은 각 지역의 초미세먼지 배출원과 기여도를 분석했다.
김포시의 경우 국내 요인이 46.4%, 국외 요인이 53.6%로 나타났으며, 배출원별로는 농업(39.2%)과 비산먼지(20.4%)의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농업 분야와 비산먼지 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광주시는 국내 요인이 48.8%, 국외 요인이 51.2%로 조사됐다. 주요 배출원은 이동오염원(37.4%)과 비산먼지(26.6%)로 확인됐으며, 차량·철도·건설기계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보고서를 경기도청과 31개 시·군, 도시환경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 배포했으며, 도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누리집에 연구 결과를 게시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지역별 초미세먼지 원인을 진단하고, 특성에 맞는 미세먼지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해당 시·군에서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