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 연구’ 최종보고회, 기업 80% “임금·생산성 유지시 동의"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주4.5일제 시범사업을 앞두고 ‘중소기업 근로시간 단축 정책실험을 위한 정책설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10일 경기바이오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김태근 경기도 노동국장 주재로 진행됐으며,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김선영·이용호 부위원장, 이병숙·이재영 도의원과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눴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11월 착수해 약 4개월간 진행됐으며, 국내외 사례 분석과 경기도 내 1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시간 단축 모델을 수립했다.
근로시간 단축, 임금·생산성 유지가 핵심
연구 결과, 기업과 노동자가 근로시간 단축을 우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임금보전과 생산성 유지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금과 생산성이 유지될 경우 80% 이상의 응답자가 근로시간 단축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주4.5일제, 주35시간제, 격주4일제 등 세 가지 모델을 제시했으며, 주당 실근로시간을 4시간 이상 줄이면서도 임금을 유지하고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시범사업, 50개 기업 선정해 임금보전·생산성 향상 지원
보고회에서는 시범사업 시행 방안도 논의됐다. 경기도는 50개 기업을 선정해 컨설팅, 임금보전, 채용장려금 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44개 측정지표를 활용해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자와 기업, 경기도 전체에 미치는 단기·중장기적 효과를 분석하고, 장애요인을 확인해 정책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제조업 등 근로시간 단축 시 신규 채용이 불가피한 업종에는 채용장려금 확대 및 외부 교육훈련기관 연계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도 함께 제안됐다.
경기도는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를 바탕으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참여 기업의 생산성 및 노동환경 변화를 평가할 계획이다.
김태근 경기도 노동국장은 “일과 삶의 균형을 확대하고 육아 및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5일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3월 19일부터 4월 18일까지 4.5일제 참여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일자리재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