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현장 중심 맞춤형 교육·지원,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및 권익 향상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플랫폼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사업을 4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플랫폼 노동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별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노동자로, 배달기사, 대리운전기사, 학습지 교사 등이 대표적인 예다.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플랫폼 노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경기도는 노동자의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올해 신규 도입된 ‘플랫폼 노동자 권익향상 및 역량개발 지원 사업’은 노동자의 역량 향상과 처우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동노동자 거점쉼터를 중심으로 정보 공유·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맞춤형 교육과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주요 지원 내용은 ▷도·플랫폼기업·노동조합·이동노동자쉼터 간 민관협의체 운영(연 4회) ▷노무·금융·세무·심리치유 등 맞춤형 교육(연 80회, 1600명 대상) ▷혹서기·혹한기 대비 물품 및 휴식쿠폰 제공(3200명 대상) 등이다.

기존 ‘플랫폼 노동자 안전교육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배달·대리운전 기사 등 1000명을 대상으로 이론·실습 교육을 제공하고, 인식개선 캠페인을 실시한다.
특히 이륜차 실습교육을 강화해 안전운전 능력을 높이고, 거리홍보·안전물품 지원·이륜차 점검서비스 등도 병행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4411명이 안전교육을 수료했으며, 200명이 실습교육을 받았다.
경기도는 한국플랫폼프리랜서노동공제회 경기본부와 협력해 플랫폼 노동자의 사회적 보호를 강화할 방침이다. 공제사업을 확대하고, 지원사업과 연계해 실질적인 노동 환경 개선을 도모할 예정이다.
사업 관련 문의는 경기도 노동권익과 또는 한국플랫폼프리랜서노동공제회 경기본부로 하면 된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플랫폼 노동자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지만 법·제도적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노동자의 실질적인 권익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