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으로 경북 북부권으로 화재 확산, 주민 대피령

의성군 옥산면 전흥리 산불 현장 /사진=경북소방본부
의성군 옥산면 전흥리 산불 현장 /사진=경북소방본부

[경북=환경일보] 김성재 기자 =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성묘객 실화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해 현재 경북 안동, 청송, 영덕, 영양, 봉화 등 인접 지자체로 확산되면서, 산불은 극심한 피해와 대규모 집단 대피 현상 등 주민 재산과 인명을 위협하고 있다.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마을 뒷산 산불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마을 뒷산 산불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오후 6시 현재, 소방헬기 76대, 소방진화대와 공무원 400여 명, 장비 530대 등 가용할 인원과 장비를 총동원해 방어선을 치고 번지는 불길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산불은 거센 바람을 타고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성묘객 실수로 인해 발생한 의성 산불은 총 화선 279㎞에 피해 면적은 1만5185㏊에 달하며, 주민 2700여 명이 임시대피시설로 몸을 피했다. 

소실된 주택과 창고 피해도 101건에 이르며, 진화율 68%지만 밤 사이 강풍으로 인해 진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안동시로 확산한 산불로 전 주민 대피령을 발령한 상황 /사진제공=독자 제보
안동시로 확산한 산불로 전 주민 대피령을 발령한 상황 /사진제공=독자 제보

또한 오랜 세월 지역 불자들의 쉼터였던 의성군에 소재한 천년고찰 운람사와 고운사는 화마에 전소돼 사라졌으며, 다행히도 문화재 지정 보물은 대피 조치로 지킬 수 있었다.

의성 산불은 강풍에 의한 비화 현상을 일으키며 순식간에 경북 북부권 인접 지자체 전역으로 확산했다.

안동시는 전 주민 대피령을 발령하고 세계유산 병산서원과 하회마을, 봉정사 등 시민 안전과 문화유산 사수에 초비상 상황에 돌입했다.

게다가 안동시는 국가 및 지방문화재 331개를 보유하고 있어 문화재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의성군 안사면 사무소 앞 산불현장 /사진제공=경북소방본부
의성군 안사면 사무소 앞 산불현장 /사진제공=경북소방본부

지금까지는 인명피해가 없는 상황을 유지한 채 산불 진화에 대응해 왔지만, 25일 일몰 이후 강풍으로 경북 북부권 전역으로 산불이 확산되면서 인근 영양군과 청송군 등에서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산불 확산으로 경북 북부권 일부 고속도로와 철도 등 도로가 일부 통제되고 울릉을 제외한 경북경찰청은 갑호 비상 체계에 돌입했다. 

경북교육청은 안동 등 산불 피해지역 학교에 학교장 재량의 ‘휴교권장’을 실시해 대피소 활용을 위한 안전조치를 마련했다. 경북 북부교도소 역시 재소자 3400여명도 안전한 타 지역 교도소로 이감 조치했다.

산불 진화대원들의 활동 모습 /사진제공=경북소방본부
산불 진화대원들의 활동 모습 /사진제공=경북소방본부

산림·소방당국은 가용 가능한 진화자원을 총 동원해 주불 잡기에 주력하고 있지만, 오후 들어 순간 풍속 20m에 이르는 강풍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진화 헬기도 강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우려해 진화 활동이 중단됐다.

고속도로 인접 산불 현장 /사진제공=독자 제보
고속도로 인접 산불 현장 /사진제공=독자 제보

최초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경북북부권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발생한 산림소실 및 주민 재산피해, 생태계와 자연환경파괴 등 산불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성묘객 실화로 비롯된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줄 실질적 처벌 규정 마련, 피해 주민들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합리적 보상체계 구축, 강풍에 대비한 소방 진화 매뉴얼 정비, 산불로 인한 중요문화재 보존 방침, 장기간 산불 진화에 피로가 누적된 산림·소방관계자의 처우 개선 등 체계적인 산불 진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