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Butterflies first appeared 114 million years ago in the Midwest of North America. This was the middle of the Cretaceous period before the 5th mass extinction, and the Earth was dominated by herbivorous dinosaurs. Butterflies, which ate honey, spread around the world in search of flowering plants and have maintained their species for more than 100 million years through protective coloring and camouflage.

David Wagner, a University of Connecticut entomologist said while the annual rate of decline may not sound significant, it is “catastrophic and saddening” when compounded over time. “In just 30 or 40 years we are talking about losing half the butterflies (and other insect life) over a continent!”

Anurag Agrawal, Cornell University butterfly expert said he worries most about the future of a different species: Humans.

“The loss of butterflies, parrots and porpoises is undoubtedly a bad sign for us, the ecosystems we need and the nature we enjoy. They are telling us that our continent’s health is not doing so well. Butterflies are an ambassador for nature’s beauty, fragility and the interdependence of species. They have something to teach us.”

The biggest decrease in butterflies was in the Southwest — Arizona, New Mexico, Texas and Oklahoma — where the number of butterflies dropped by more than half in the 20 years.

study lead author Collin Edwards, an ecologist and data scientist at the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said “It looks like the butterflies that are in dry and warm areas are doing particularly poorly, and that kind of captures a lot of the Southwest.”

Climate change, habitat loss, and pesticides tend to work together to weaken butterfly populations, especially when pesticides are the biggest contributors. The decline in butterfly populations, following honeybees, is a serious problem that can lead to a food crisis.

In response, LG Electronics of Korea recently released the fifth video 'Monarch Butterfly' of the 'Endangered Species Protection Campaign with LG' on the Times Square electronic board in New York, USA. Last year, it also screened campaign videos on endangered species such as snow leopards, white-headed eagles, sea lions, and red wolves in Times Square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t will be necessary for mor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o continue their efforts to preserve the environment with future generations, calling for continued efforts to promote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endangered species through digital reinterpretation.

[한글 번역본]

나비의 감소, 인간에 대한 경고 신호인가!

나비는 1억1400만년 전 북미 중서부 지역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는 백악기 중기로 5차 대멸종 발생 전이며, 지구는 초식 공룡이 지배하고 있던 시대였다. 꿀을 먹게 된 나비는 개화식물을 찾아 전 세계로 퍼졌으며 보호색과 위장술로 1억년 넘게 종을 유지해왔다.

코네티컷 대학의 곤충학자 데이비드 와그너(David Wagner)는 나비의 연간 감소율은 “재앙적이고 슬픈 일이며, 불과 30-40년 안에 한 대륙에서 나비(그리고 다른 곤충들)의 절반을 잃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코넬 대학의 나비 전문가 아누라그 아그라왈(Anurag Agrawal)은 "나비, 앵무새, 돌고래의 손실은 우리가 필요로 하는 생태계와 우리가 즐기는 자연에 나쁜 징조이며, 그들은 우리 대륙의 건강이 그렇게 좋지 못한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나비는 자연의 아름다움, 연약함, 종의 상호 의존성을 대변하는데, 그들은 우리에게 가르쳐 줄 것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비의 가장 큰 감소는 남서부 (애리조나, 뉴멕시코, 텍사스 그리고 오클라호마) 그곳에서 20년 동안 나비의 수가 절반 이상 감소했다. 생태학자이자 데이터 과학자인 연구 수석 저자 콜린 에드워즈(Collin Edwards)는 “건조하고 따뜻한 지역에 있는 나비들이 특히 잘 지내지 못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나비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는 기후 변화, 서식지 손실 및 살충제는 나비 개체수를 약화시키는데 함께 작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살충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드러났다. 꿀벌에 이은 나비 개체의 감소는 식량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이에 한국의 LG전자는 최근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LG와 함께하는 멸종위기종 보호 캠페인'의 5번째 영상 '모나크 나비'편을 공개했는데, 지난해에도 타임스스퀘어에서 눈표범과 흰머리수리, 바다사자, 붉은 늑대 등 멸종위기종 주제 캠페인 영상을 상영하며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알려 왔다.

더 많은 기업과 단체들이 디지털 재해석을 통해 기후 변화의 심각성과 멸종위기종 보존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알리는 노력을 당부하며, 미래 세대와 함께 환경을 보존하는 노력을 이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