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소요시간 기존 8시간에서 1시간 이내로 대폭 단축

[환경일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31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신속·정확한 성능평가 체계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22년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수명(SOH)을 신속히 측정하기 위한 S/W방식의 기술개발을 시작해 2023년 기술 검증 및 실증을 거쳐, 지난해 11월 신속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 도입을 완료해 글로벌 최초로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1시간 이내로 측정하고 있다.

SOH(State of health)는 사용 가능한 잔존 용량과 예상 수명 등 재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량화된 성능 수준으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측정해 결정된 수명이다.

또한 S/W검사기법(Software testing method)은 사용후 배터리 내 BMS 등의 이력 또는 실시간 정보를 활용한 사용 후 배터리 평가 기법이다.

미래폐자원 거점 수거 센터 /자료제공=한국환경공단 
미래폐자원 거점 수거 센터 /자료제공=한국환경공단 

한편 공단은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를 회수-보관-민간시장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의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2022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 1대당 8시간이 소요되는 완전충방전 평가방식의 개선에 돌입해 신속·정확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공단이 개발에 성공한 1시간 이내 신속평가 기술은 사용 후 배터리의 BMS 데이터 분석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활용한 것으로 정확성이 가장 높은 완전충방전 대비 오차율은 약 2%에 불과하나 평가 소요 시간은 8배 단축 가능하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전기차 배터리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상태(셀 온도, 전압, 전류 등)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평가 등에 대한 법적 기준인 전기용품안전기준(KC10031)의 허용 오차 3%를 충족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 상태별 기술 실증에서도 허용오차 이내 기준을 충족해 사용후 배터리 유통시 매우 손쉽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자료제공=한국환경공단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자료제공=한국환경공단 

공단은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의 사용 후 배터리 민간공급 활성화를 위해 성능평가 이외 100V 이하 저용량 배터리의 잔존 수명 평가를 위한 장비를 도입했으며 이외 수입 차량의 사용 후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도 지속 확대해 구축할 예정이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국내 전기차 보급 현황과 전기차 교체주기(약 10년)를 볼 때 올해부터 사용 후 배터리의 대량발생이 예상된다”며, “민간시장에도 공단이 기술 개발한 신속 성능평가 방법을 보급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시장이 신성장산업 창출과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