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설문 '경제적 부담'이 저출산 최고 원인… 영역별 정책과제 제시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연구원이 저출생 문제 해결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동시에 추진하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경기연구원은 15일 '저출생에 따른 경기도 인구구조 변화 전망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경기도 인구정책 방향과 영역별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경기도 합계출산율은 0.79명으로 전년(0.77명)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대체출산율(2.1명)에는 크게 못 미친다. 유소년 인구 비중은 2000년 21.0%에서 2023년 11.1%로 급감했다. 연구원은 저출생 문제 해결 없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두 가지 문제에 동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도민 1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47.8%)이 꼽혔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일·가정 양립 지원'(30.1%), '청년 결혼 지연/포기 원인 해소'(29.2%) 순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지원'(31.5%), 중장기적으로는 '성평등 등 문화 변화'(21.5%)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연구원은 '균형과 포용의 인구전략,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출생·돌봄 강화 ▷고령친화사회 조성 ▷고용 안정 ▷다양성·포용성 확보 ▷지역 불균형 완화 ▷정책기반 강화 등 6대 전략목표와 함께 가족, 교육, 노동, 주거 영역별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예: 노인통합돌봄 전담조직 조례 제정, 인구감소 지역 학교 역할 재구조화 등)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은 "출산율 회복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병행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체계적인 추진전략과 정책 로드맵 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