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경제·미래인재·똑버스 등 4개 사업 추가 발굴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성과 창출을 위해 도 산하 공공기관과 맺는 ‘책임계약’ 제도를 올해 19개 기관, 14개 사업으로 확대 운영한다.
‘책임계약’은 도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을 발굴해 공공기관이 도민에게 성과 창출을 약속하고 이듬해 평가받는 제도로, 경기도가 2023년 도입했다. 지난해 14개 기관, 10개 사업에서 참여 기관과 사업 수가 더 늘었다.
도는 올해 기존 10개 사업과 함께 민생경제, 미래먹거리, 돌봄 등 주요 도정과 관련된 도민 체감 사업 4개를 추가 발굴했다고 21일 밝혔다.
새로 추가된 사업은 ▷언제·어디나 돌봄·의료(야간·휴일 장애 돌봄, 재택의료: 경기복지재단, 경기도의료원) ▷경제살리GO 프로젝트(전통시장·골목상권 통큰 세일, 소상공인 운영비 카드 지원: 시장상권진흥원, 경기신보, 경기관광공사 등) ▷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RISE), 반도체 교실 등: 차세대융합기술원, 경과원) ▷부르면 오는 관광·통학형 똑버스(수요응답형 버스 확대·개편: 경기교통공사, 경기관광공사) 등이다.
기존 10개 사업(경기청년 기회주택, 베이비부머 기회 일자리, 공용 전기요금 제로 아파트, 햇빛 자전거길 조성 등)도 사업량 확대 등 목표를 상향해 고도화한다.
도는 5월, 2024년 추진된 10개 책임계약 사업의 성과 평가 결과(목표달성도, 전문가 평가, 도민 여론조사 합산)를 발표하고 우수기관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지난 16일 공공기관장 회의에서 “책임계약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이 도민 체감 성과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며 “올해도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