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산불 위험률 산업화 이전보다 ‘120일’ 이상 증가
신속한 대응과 산불 이후 하천유입 등 환경 피해 최소화해야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최근 발생한 경북 지역 산불 발생으로 인해 산림 피해 면적이 10만4000ha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124배, 서울 면적의 1.72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로 인해 산불 이후의 재생·복원 대책과 생태계 회복, 재발 방지를 위한 앞으로의 산불 발생 현황을 함께 짚어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진보당 의원 일동은 산불 발생이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향후 생태계 복원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산불발생 대응방안과 산불발생 후 환경피해 예방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를 열어 각계 전문가들과의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안호영 환경노동위원장은 “현재 기후위기로 인해 산불 위험률이 산업화 이전보다 120일 이상 증가했고 발생 빈도 및 피해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산불 대응을 위해 사회와 정부가 긴밀하게 해결 대책을 찾아야 할 될 때라고 개회사를 전했다.
김주영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는 “산불의 빈도 증가와 대형화는 기후위기 때문”이라며 이에 따라 산불 예방과 신속한 대응은 물론, 산불 이후의 하천으로 유입 등 환경 피해를 최소화 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어떻게 복원할 것인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담배꽁초·성묘 화기 사용 금지는 한계 有
아울러 전 산림복원협회 임주훈 회장은 “담배꽁초나 성묘 시 화기 사용 금지 같은 기존 예방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임도가 바람길 역할을 하기에 산불 취약 지역 가옥 옥상에 대형 수조와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하고, 전통 목조 건물 주변에는 내화수림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강풍에 의한 확산을 막기 위해 동서 산악도로 개설과 방풍책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기호 기상과학원 연구원은 ‘인공강우’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장 연구원은 “인공강우라고 하면 없는 비가 막 내리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인공증우, 인공증설로 비를 더 늘리거나 눈을 더 늘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공강우는 산림 습도를 높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어 미국 등 50여 개국에서 적용 중이라고 부연했다.
“인공 조림과 자연 복원 모두 해답”
국립산림과학원 최형태 과장은 “산불 후 주로 강우 시에 탄화된 재 등 난분해성 유기물 및 부유물질이 크게 늘어나므로 계류 유입 차단, 하류 유출 저지를 위한 응급조치 및 항구 조치로 구분해 적용해야 한다”고 봤다.
초기에 토양침식과 표충 붕괴 위험이 증가해 10년 이상 뿌리 회복기간 동안 산불 이전보다 산사태 발생 위험이 증가하므로 2차 피해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불 발생 이후 가장 중요한 것은 ‘2차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이규송 교수는 이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모든 답은 현장에 있고 무엇이 옳고 그름이 아니며 인공 조림과 자연 복원 모두 해답”이라고 밝혔다.
산불이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토양침식이 가장 중요하다. 김범철 강원대학교 명예교수는 “불필요한 예산 낭비와 효과 없는 대규모 사방댐들이 토사를 막을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산의 사방댐들은 거의 대부분이 토사로 채워져 있다”고 지적했다.
“산불 난 지역에서 강우가 내리면 오염물질과 토사들이 내려올 수 있다”고 우려한 김경록 환경부 수질수생태과장은 “초기 강우 시 환경부는 주요 하천으로 들어오는 길목마다 오탁 방지막 설치를 지자체와 협업으로 지난주부터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4월 중으로 30~40여개 정도 오탁방지막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