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지자체 선정, 개소당 최대 10억 원 지원 예고

국토교통부가 16일부터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국토교통부가 16일부터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가 스마트도시 데이터 활용을 본격화한다. 국토부는 5월 16일부터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도시 간 공동 활용 가능한 실용적 솔루션을 개발해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의 확산을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는 교통, 안전 등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 플랫폼이다. 현재 전국 대부분의 광역지자체에 구축이 완료됐으며, 기존에는 버스노선 최적화, 범죄예방, 코로나19 역학조사 등 분야에서 시범적으로 활용돼왔다.

이번 사업은 데이터허브를 기반으로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총 3개 지자체가 선정되며, 각 지자체에는 국비 최대 10억 원이 지원된다. 국비와 지방비는 1:1 매칭 방식으로 편성되며,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와 협업해 응모할 경우 우대 선정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에서 개발된 솔루션은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돼 다른 지자체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데이터 기반 행정의 범용성과 확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장기적으로는 스마트시티 기술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과거 시범 사례에서는 경찰청 신고 데이터와 유동인구, CCTV 정보 등을 융합해 범죄 다발 지역에 대한 최적 순찰 노선을 도출하거나, 코로나19 확산 당시에는 카드사·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확진자 동선 파악에 활용된 바 있다. 이처럼 실제 행정과 시민 생활에 직결되는 분야에서의 데이터 기반 서비스가 확대될 전망이다.

공모 접수는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며, 7월 중 최종 선정 결과가 발표된다. 국토교통부 윤종빈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사업이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국민 체감형 도시서비스 확대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