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AI 신약개발 가속화 위한 민관 협의체 개최

정부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정부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출범시키고,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단장 신상훈)은 지난 15일, 복지부, 과기정통부,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국가바이오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함께 목암생명과학연구소, KAIST,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 산학연 기관 및 대웅제약, 삼진제약,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민간 기업이 참여한 ‘신성장 4.0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첫 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AI 기술은 신약후보물질 발굴부터 약효 예측, 독성 평가, 임상시험 설계 등 신약개발 전 주기에 적용되며, 기존 1018년 걸리던 개발 기간을 69년으로 단축시키는 등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글로벌 AI 바이오 시장은 2029년까지 77억 5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은 AI 바이오 특허 출원에서 세계 3위, 논문 발표에서는 9위를 기록 중이다.

이날 추진단은 간담회에 앞서 국내 최초 민간 비영리 연구재단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를 방문해 ‘K-MELLODDY’ 사업의 현황을 점검했다. 이 사업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348억 원 규모로 복지부와 과기정통부가 공동 주관하며, 대웅제약, 삼진제약 등 제약사와 병원이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KAIST와 목암생명과학연구소 등이 AI 신약개발 모델을 개발한다.

간담회에서는 AI 기반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 발제와 함께,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민관 협력 및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기업들은 특히 AI 개발용 데이터 활용 및 인프라 접근 규제 완화, 예측모델에 대한 명확한 심사 기준 마련, 산학 연계 인력 양성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신상훈 단장은 “AI 신약개발은 개발 실패 확률이 높은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맞춤형 치료시대를 앞당기는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며 “국민 건강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도 정비,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