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시민 모여 기후 대선 지지 캠페인 참여··· 기후 정치 필요성 호소

기대해 캠페인 온라인 페이지 메인 화면 /자료제공=기후솔루션
기대해 캠페인 온라인 페이지 메인 화면 /자료제공=기후솔루션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다가오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기후위기를 정치의 핵심 의제로 삼아야 한다는 시민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지난 4월 18일부터 5월 24일까지 시민단체 기후솔루션이 진행한 ‘기대해: 기후 대선을 지지해’ 캠페인에는 총 2038명의 시민이 참여해 각자의 목소리로 기후정치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캠페인에 모인 메시지는 대선 후보 캠프에 전달될 예정이며, 이후에도 기후위기를 정쟁이 아닌 국가 과제로 삼는 활동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캠페인은 텀블러 사용, 대중교통 이용 같은 개인의 실천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정부 차원의 제도적 변화가 필수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참가자들은 정책 제안에 그치지 말고 입법과 개정까지 나아가야 한다, 단기 성과보다 장기적 관점을 갖춘 대통령이 필요하다는 등의 의견을 쏟아냈다. 특히 기후위기는 특정 정당의 의제가 아닌 시대적 과제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각계각층 시민의 참여는 캠페인의 진정성을 높였다. 구룡포연안홍게선주협회 김진만 협회장은 석유 시추로 고통받는 동해 어민의 현실을 전하며, 국책사업의 피해자가 된 현실을 고발했다. 한 농민은 습설 피해로 농사조차 시작 못 했던 지난 겨울을 되짚으며 “이제는 편하게 농사짓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커피 브랜드 ‘로우키’의 노찬영 대표는 기후변화로 커피 생산지가 줄고 있다며 업계의 위기를 실감나게 전달했다. ‘아기기후소송’의 원고인 한제아 어린이는 “기후위기의 책임을 다음 세대에 전가하지 않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들의 요구는 구체적인 정책 제안으로 이어졌다. 특히 친환경적이지 않은 자재를 쓰는 기업에 세금 부과, 채식 식생활이 확산될 수 있는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재생에너지 확대 요구도 꾸준히 등장했다. 깨끗한 전기를 쓰고 싶다, 산업 진흥을 말하면서 재생에너지 공약을 빼놓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그러나 대선 후보들의 인식은 아직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지난 23일 제2차 TV 토론에서 기후위기가 공식 의제로 포함됐지만, 풍력·태양광 등을 폄하하거나 ‘RE100’을 비현실적이라 치부하는 발언이 나왔다. 이는 글로벌 흐름과 동떨어진 인식이라는 것이 기후 전문가들의 평가다.

클라이밋 애널리틱스 분석에 따르면, 한국은 2035년 예상 수요의 3배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발전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미 100여 개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 확대’에 서명했으며,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는 RE100 캠페인은 공급망 전체에 재생에너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내년 시행을 앞두고 있어, 재생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가 되고 있다.

구룡포연안홍게선주협회 김진만 협회장, 카페 ’로우키’ 노찬영 대표, ‘아기기후소송’ 원고 한제아 어린이가 기대해 캠페인에 참여한 모습 /사진제공=기후솔루션
구룡포연안홍게선주협회 김진만 협회장, 카페 ’로우키’ 노찬영 대표, ‘아기기후소송’ 원고 한제아 어린이가 기대해 캠페인에 참여한 모습 /사진제공=기후솔루션

기대해 캠페인에 참여한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기후위기 대응 실패는 곧 시장에서의 도태를 의미한다”며 “이번 대선을 통해 한국이 기후 대응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원장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가 불과 5년 남았다”며, 이번 선거가 경제 재편의 기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양과학자들도 목소리를 보탰다. 남성현 서울대 교수는 “바다는 기후를 조절하고 재난을 확대하는 중요한 자연 요소”라고 강조하며, 바다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은 “기후위기는 정의와 평화의 문제”라고 지적했으며, 홍선욱 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대표는 “병든 바다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라도 이번 대선은 반드시 기후를 말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