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시민사회·전문가·공공이 함께하는 상생형 거버넌스 구축

‘시화호 수상태양광 민관협의회’ 제1차 정기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시화호 수상태양광 민관협의회’ 제1차 정기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시화호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 사업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논의하는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켰다.

도는 지난 23일 안산시 대부도에서 ‘시화호 수상태양광 민관협의회’ 제1차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지역주민, 시민사회단체, 전문가, 공공기관 관계자 등 18명으로 구성됐으며, 향후 정례회의를 통해 태양광 설치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원 위촉을 시작으로 시화호 수상태양광 사업 추진 경과 보고, 협의회 운영 규정 논의 등을 통해 향후 활동 방향을 설정했다. 경기도는 민관협의회가 단순한 자문 기구를 넘어 실질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거버넌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운영할 방침이다.

앞서 경기도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신뢰 기반의 소통을 위해 지난해부터 총 16회에 걸친 주민설명회를 비롯해 공개토론회와 실무협의체를 운영하며 안산시, 화성시, 시흥시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왔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시화호는 생태와 에너지, 지역이 공존하는 상징적 공간”이라며 “이번 협의회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지역사회와 함께 해결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상생형 거버넌스 모델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시화호 수상태양광 사업은 탄소중립 실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핵심 과제로, 경기도는 향후에도 지역과의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투명하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