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복원은 선택 아닌 생존 전략, 실천과 연대가 핵심

[환경일보] 6월 17일은 ‘세계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로, 올해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이 제시한 공식 주제는 ‘토지를 복원하고, 새로운 기회를 열다’이다. 이는 토지 황폐화가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생존과 직결된 글로벌 의제임을 강조한다.

글로벌 기후위기의 실체는 점점 더 피부에 와닿고 있다. 이상기온과 집중호우, 초유의 폭염은 이제 특별한 뉴스가 아니다. 그리고 이 기후위기의 이면에는 조용히, 그러나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는 재난이 있다. 바로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다.

사막화는 단순히 아프리카나 중동의 문제라고 여기기 쉽지만, 실제로는 우리 일상에 깊숙이 침투해 있다. 농업용수가 고갈되고, 식생이 줄고, 산불이 늘어나며, 결국 그 피해는 물가 상승과 식량 불안, 환경 질병 등으로 돌아온다. 특히 개발도상국과 건조지역의 주민들에게는 생존 그 자체를 위협하는 문제다. 유엔은 이를 두고 ‘인류 생존의 조건을 무너뜨리는 가장 느리고 조용한 위기’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여전히 둔감하다. 사막화는 하루아침에 가시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느리다’는 것은 ‘덜 위협적’이라는 뜻이 아니다. 오히려 대응의 기회를 스스로 상실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더욱 위험하다. 사막화는 단순한 생태계의 위기가 아니라 물과 식량, 주거와 이주, 세대 간의 지속 가능성까지 흔드는 전방위적 위협이다.

중국 쿠부치 사막 나무 심기 사업 현장 /사진=환경일보DB 
중국 쿠부치 사막 나무 심기 사업 현장 /사진=환경일보DB 

그러나 희망도 있다. 인간이 스스로 파괴한 생태계라면, 인간의 의지와 협력으로 복원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황폐했던 산림을 단 30여 년 만에 푸르게 되살려낸 경험이 있다. 이는 정부의 정책과 국민의 참여가 맞물렸을 때 어떤 기적이 가능한지를 보여준다. 이제 이 경험을 국경 밖으로 확장할 때다. 몽골, 중앙아시아, 동남아 등지에서 진행되는 국제 조림협력 사업은 단순한 나무심기가 아닌 생태 복원과 주민 생계 개선, 기후 안정화라는 복합적 효과를 낳고 있다.

지금의 기후위기는 정쟁으로 치환될 수 없는 초국가적, 초세대적 과제다. 토지를 복원하고 가뭄에 대응하는 문제는, 미래세대를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과 같다. 

최근 국회 기념행사에서 발표된 ‘토지 복원 행동 선언문’은 토지 회복력 강화, 시민참여 확대, 세대 간 연대를 명시했다. 산림청이 밝힌 ‘사막화 방지 중장기 로드맵’ 수립과 국제조림 협력 확대 계획은 환영할 만하다. 그러나 로드맵이 단지 구호에 머물지 않으려면 예산, 제도, 지역 실행력이 수반돼야 한다. 무엇보다 정책에서 현장으로, 협치보다 연대라는 실천적 구호는 구체적 이행과 결과로 입증돼야 한다.

기후위기 시대, 사막화와 가뭄은 우리 삶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의제다. 지금은 선언이 아닌 실천, 회피가 아닌 연대의 시간이다. 대한민국이 과거 산림 복원 성공 사례를 넘어, 지구촌 생태 회복의 주도국이 되기를 기대한다.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은 토지의 회복력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진짜 지속 가능성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