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구·안산·김천·김해, 지역 맞춤형 스마트도시로 탈바꿈

국토부가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대상지로 전주, 대구, 안산, 김천, 김해를 선정하며, AI와 기후 대응 등 지역 특화 기술을 통한 도시 혁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국토부가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대상지로 전주, 대구, 안산, 김천, 김해를 선정하며, AI와 기후 대응 등 지역 특화 기술을 통한 도시 혁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를 통해 총 5곳의 지방자치단체를 선정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거점형 1개소, 강소형 3개소,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1개소로 나뉘며, 각 도시의 특성과 미래 비전을 반영한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도시 운영에 접목해 교통, 환경, 안전, 복지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혁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거점형: 전북 전주시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거점형: 전북 전주시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거점형: 전북 전주시 – Adaptive City 전주

거점형으로 선정된 전북 전주시는 총사업비 324.1억원 규모의 ‘Adaptive City 전주’를 추진한다. 9개 거점을 중심으로 목적맞춤형 모빌리티(PBV)를 활용한 이동형 생활SOC(이동식 은행, 캠핑카 등)를 제공하며, 고령층과 취약계층을 위한 AI 헬스케어 서비스(이동 진료, 응급상황 관제)를 구현한다. 또한 AI 기반 도로위험 감지, 전기차 충전 화재관리, 시민 건강케어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강소형: 경기 안산시 – 다문화 특화 스마트도시

지역소멸 대응형으로 선정된 안산시는 원곡동과 초지동 등지에 외국인 비율이 높은 인구 구조를 반영해 다국어 기반의 통합교통서비스(MaaS), 다문화 행동 데이터 기반 상권 활성화 플랫폼, AI 맞춤형 교육 서비스 등을 개발한다. 총사업비는 160억원이며, 디지털 헬스케어와 도시데이터 플랫폼 등도 포함돼 있다.

강소형: 경북 김천시 – 모빌리티 중심 스마트도시

역시 지역소멸 대응형으로 선정된 김천시는 어모면, 개령면, 율곡동 일원에 자율주행 기반의 DRT, 드론 기반 AI 도시안전관리, 이동식 생활물류 시스템,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센터 등을 구축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을 꾀한다. 교통 인프라와 연계한 김천형 MaaS 모델도 핵심이다.

강소형: 경남 김해시 – 기후위기 대응형 스마트도시 ACE 김해

기후위기 대응형으로 선정된 김해시는 전역에 걸쳐 탄소저감형 교통시스템, 유휴부지 태양광 발전소, 침수감지 시스템,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체계 등 친환경 기술을 도입한다.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 서비스와 지역화폐 보상을 통해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생태계를 조성한다. 총사업비는 165억원이다.

특화단지: 대구광역시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특화단지: 대구광역시 사업 개요 /자료제공=국토교통부

특화단지: 대구광역시 – 스마트 알파시티

대구시는 AI산업 플랫폼 중심의 스마트도시 특화단지를 수성구 알파시티에 조성한다. 로봇·모빌리티, 지능형 관제 시스템 등 AI기반의 서비스 개발이 이뤄지며, 기업전용 5G망, 초고속 통신망, AI학습 서버 등이 지원되는 테스트베드 환경이 구축된다. 총사업비는 168.15억원이며, 대구테크노파크, 경북대 산학협력단 등이 참여한다.

국토교통부 윤종빈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공모는 많은 지자체의 관심과 참여 속에 진행됐다”며 “지역의 특성과 시민 수요를 반영한 스마트서비스가 전국으로 확산돼 상생하는 도시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지자체의 구체적인 사업계획 자료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을 통해 6월 23일부터 공개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