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기후환경과 에너지 미래발전 정책세미나’, 7월 11일 개최

제주도 기후환경과 에너지 미래발전 정책세미나 포스터 /자료제공=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제주도 기후환경과 에너지 미래발전 정책세미나 포스터 /자료제공=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환경일보] 제주도가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혁신이라는 시대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논의를 본격화한다. ‘제주도 기후환경과 에너지 미래발전 정책세미나’가 오는 7월 11일 오후 2시부터 제주신화월드 랜딩관 컨벤션센터 한라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과 국제미래학회, 국제 e-Mobility 엑스포, 제주21세기한중교류협회가 공동 주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AI 인류혁명 시대, 제주도 기후환경과 에너지의 미래’를 주제로, 첨단 기술과 지속가능한 정책이 융합된 제주형 미래전략을 논의하는 공론의 장으로 마련됐다. 행사는 오후 1시 30분 접수 및 친교의 시간으로 시작된다. 개회식에는 강영식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공동회장의 개회 선언에 이어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이상봉 도의회의장, 김광수 교육감, 진건국 주제주중국총영사, 주영섭 서울대 특임교수가 축사를 맡는다.

환영사는 안종배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대표회장(국제미래학회 회장), 김대환 국제 e-Mobility 엑스포 조직위원장이 맡는다. 격려사는 송창권 행정자치위원회 의원, 김황국 환경도시위원회 의원이 전하며 제주도의회의 협력 의지를 전할 예정이다.

정책발표 세션에서는 전하진 SDX재단 이사장이 ‘AI 인류혁명 시대 제주도의 기후환경 미래 발전 방안’을, 김영환 전력거래소 전 제주본부장이 ‘제주도의 에너지 미래 발전 방안’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어지는 패널토론에서는 안종배 회장이 좌장을 맡고, 강애숙 기후환경국장, 양제윤 혁신산업국장, 서용식 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센터장, 정대연 아시아기후변화교육센터장, 김진근 제주전략산업센터장, 김익태 제주도기자협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들은 제주도의 기후환경·에너지 정책의 실효성과 향후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AI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책과 기후 대응 전략이 만나는 지점에서 제주형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된다. 특히, 제주를 ‘AI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섬’으로 전환시키는 구체적 실천 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종배 대표회장은 “이번 세미나는 제주가 AI·기후·에너지의 교차점에서 미래를 선도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라며 “도민과 전문가가 함께 지속가능한 제주를 설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영식 공동회장도 “AI 기술과 정책이 결합되는 전환점에서, 제주가 글로벌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도민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