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연장, 석유시장점검단 운영 등 가격안정 위한 총력 대응

산업부가 중동 긴장 고조에 따른 석유·가스 수급 안정과 가격 통제를 위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조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산업부가 중동 긴장 고조에 따른 석유·가스 수급 안정과 가격 통제를 위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조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이스라엘과 이란 간 군사적 충돌로 중동 정세가 불안정해지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6월 19일 서울 석탄회관에서 석유·가스 수급과 가격안정 대응책을 점검하는 긴급회의를 열고 현장 대응에 나섰다.

이번 회의에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스오일,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 등 주요 정유사와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유관 협회들이 참석했다. 정부와 업계는 원유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이 현재까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중동 인근을 운항 중인 유조선과 LNG 운반선도 정상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동 해역, 특히 호르무즈 해협의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부는 수급 위기 발생 시 단계별 대응 매뉴얼에 따라 비상 조치를 시행할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국내에는 약 200일간 사용할 수 있는 비축유와 충분한 가스 재고가 확보돼 있는 상태다.

최근 중동 지역 긴장 고조로 국제 유가는 6월 들어 20% 이상 상승했다. 브렌트유 기준 5월 30일 배럴당 63.9달러였던 가격은 6월 18일 기준 76.7달러로 급등했다. 이에 따라 국내 유류 가격 역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유가 상승이 소비자 가격에 과도하게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6월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8월까지 연장했다.

윤창현 국장은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시장 불안이 국내 석유·가스 수급과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업계에도 가격 안정에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국제유가 인상 폭을 초과한 가격 전가를 지양해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는 유가 상승기에 편승한 가짜 석유 판매 등 불법행위를 단속하기 위해 ‘범정부 석유시장점검단’을 즉시 가동해 전국 현장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장 질서를 바로잡고,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번 회의는 석유 수급위기 대응 계획, 업계의 비상 도입 계획, 석유 및 가스 가격 동향 보고, 자유토론 등을 포함해 실질적인 위기 대응력 강화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정부는 향후 정세에 따라 추가 대응책도 수시로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