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서울시 공무원 대상 전국 첫 실무교육 실시

소나무재선충병 우전자 진단키트에 사용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소나무재선충병 우전자 진단키트에 사용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환경일보] 국립산림과학원이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을 막기 위한 첨단 대응에 나섰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서울시와 협력해 26일 서울시 병해충방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병 유전자 진단키트 활용 실무교육’을 전국 최초로 시행했다.

이번 교육은 단순 이론 중심이 아닌 현장 실무 중심으로 진행됐다. 그동안 소나무재선충병 진단은 전문 진단기관에 의존했으나, 이번 교육을 통해 지자체 공무원이 직접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를 통해 현장 대응력과 선제적 방제 역량이 실질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2007년 노원구에서 첫 재선충병이 발생한 이래 2015년 용산구, 2016년 중랑구에서 추가로 발생했지만 이후 청정지역으로 전환된 바 있다. 그러나 2023년 서초구, 2024년 노원구에서 재선충병이 재발하며 예찰 체계 고도화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실무자의 진단 역량을 강화하고 확산 차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에 활용된 유전자 진단키트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코사이언스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소나무 목재 시료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존재 여부를 약 30분 내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 키트는 94%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갖췄으며, 단 1마리의 재선충 DNA까지 검출 가능한 고감도 기술이 적용됐다.

국립산림과학원 손정아 연구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진단키트를 통해 신속한 예찰과 방제가 가능해져 피해 확산 방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기술 지원과 협력을 통해 서울이 다시 청정지역으로 전환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첨단 과학기술을 행정 실무에 접목해 산림병해충 대응 체계를 혁신하는 사례로 주목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향후 타 지역으로도 진단키트 교육을 확대해 전국적인 재선충병 방제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