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국내외 전문가와 간담회 개최

기획재정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양자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선도를 목표로 정책과 투자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기획재정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양자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선도를 목표로 정책과 투자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단장 신상훈)은 지난 26일 ‘퀀텀코리아 2025’ 현장을 방문하고 양자기술 관련 민관협의체를 개최해 글로벌 양자 생태계 동향과 국내 산업계의 목소리를 청취했다고 밝혔다.

양자기술은 미래 산업과 안보를 넘어 경제·사회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 분야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약 23억 달러(약 3.3조원)에서 2033년까지 약 246억 달러(약 34조원)로 10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 EU,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은 국가 차원의 전략과 대규모 R&D 투자를 통해 기술 패권 경쟁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퀀텀 이니셔티브’(2024년 4월 발표), ‘양자기술산업법’ 시행(2024년 11월),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 전략’(2025년 3월 발표) 등 최근 정부의 제도·정책적 노력 이후 산업계가 체감하는 정책 효과를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AIST, SDT, 메가존클라우드, LG전자 등 양자기술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기업들은 양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활용과 지원 확대, 고급 인재의 산업 유입 촉진, 양자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위한 규제 개선과 투자 확대 등을 건의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주요 선진국과의 국제협력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K-퀀텀 점프 전략 추진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협력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신상훈 단장은 “양자기술은 향후 경제·안보·사회 전 분야에 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전략적 분야”라며, “정부는 흔들림 없는 정책 추진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기술 패권을 선도하고, 글로벌 양자 과학기술 경쟁에서 앞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간담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양자 생태계 조성과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