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지역 주민 일상 회복 및 2차 환경 피해 예방

올해 영남권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의 95% 이상을 신속히 처리 완료하고, 환경부는 여름철 수해 폐기물 대비 체계도 강화했다. /사진=환경일보DB
올해 영남권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의 95% 이상을 신속히 처리 완료하고, 환경부는 여름철 수해 폐기물 대비 체계도 강화했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올해 3월 발생한 울산, 경북, 경남 지역 산불로 쌓였던 재난폐기물의 95.6%가 처리 완료됐다. 환경부는 7월 1일 기준으로 전체 74만3000톤 중 71만1000 톤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울산 울주군과 경남 산청·하동군이 각각 100%의 처리율을 기록했으며, 경북 지역은 95%의 처리율을 보였다.

이번에 발생한 재난폐기물은 전소·반소된 주택과 상가, 농업용 창고 등 주민 생활·생계시설 철거 과정에서 약 70만8000톤이, 산불 피해를 입은 65개 공장에서 약 3만5000톤이 발생했다. 이 중 주택 등에서 나온 폐기물은 96% 처리됐고, 공장 폐기물은 88.1%가 처리 완료됐다.

이번 신속한 처리는 중앙재난합동대책본부가 5월 2일 산불 복구계획을 확정한 지 두 달 만에 이뤄졌다. 환경부는 추경예산 1120억원을 포함해 총 1420억원의 국비를 피해 지역 지자체에 긴급 교부하며 빠른 처리를 뒷받침했다. 특히, 처리 지연의 주요 원인인 지자체 위탁용역 계약 현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신속한 계약체결을 유도한 점이 주효했다.

또한,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과 경북도는 산불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현장을 매주 점검하며 처리 실적을 면밀히 관리했다. 아직 철거되지 않은 산불 피해 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잔여 재난폐기물 약 3만 톤도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즉시 처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산불 폐기물 처리 경험을 바탕으로 여름철 풍수해에 대비한 폐기물 관리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수해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를 전국 지자체와 재난 관련 기관에 배포했고, 지난 6월 27일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초기부터 체계적인 폐기물 발생량 조사가 가능하도록 했다.

전국 지자체는 침수된 가옥에서 발생하는 전자제품과 집기류 등 수해 폐기물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총 1300곳(적환 가능량 612만 톤)의 적환장 예비 부지를 확보했다. 이는 과거 수해 발생량을 고려한 조치로, 2022년에는 9.2만 톤, 2023년 8.6만 톤, 2024년 4.2만 톤의 수해 폐기물이 발생한 바 있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산불 피해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신속한 재난폐기물 처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다가오는 여름철 수해 폐기물 처리 역시 지연 없이 진행해 2차 환경 피해를 막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