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In our hyper-connected digital age, we constantly upgrade our devices — smartphones, laptops, tablets, TVs. But have you ever paused to consider what happens to the electronics you throw away?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the world produces over 62 million tons of electronic waste each year. By 2030, this number is expected to rise to 82 million tons — the equivalent of 1.55 million trucks, enough to circle the Earth.

What’s more alarming is that only 22% of this waste is properly recycled. The rest ends up in landfills, or worse, in informal dismantling workshops where environmental regulations don’t apply. E-waste is not just about piles of broken gadgets. It contains dangerous heavy metals like lead, cadmium, and mercury. When buried or burned, these toxins leak into the soil, water, and air — threatening our respiratory and nervous systems, and putting children’s health at risk.

A tragic case is found in Agbogbloshie, Ghana, one of the largest e-waste dumpsites in the world. Here, men and even children disassemble electronic waste with bare hands, often setting plastic wires on fire to extract copper. The land and water in the area are so contaminated that even survival is at stake.

In India, the city of Delhi is constructing an E-Waste Eco Park capable of processing 50,000 tons of e-waste annually while creating over 1,000 jobs. The Indian government has also introduced a law requiring companies to pay a minimum recycling fee, ensuring they share responsibility for the waste they produce.

Meanwhile, Europe has long enforced the WEEE Directive, which mandates electronic waste collection and recycling. Recently, the EU took it a step further, requiring all smartphones to use USB-C charging ports — a simple design change with major waste-reduction implications.

Discarded electronics are often rich in rare and precious metals — gold, silver, and rare earth elements worth billions of dollars globally. When we fail to recycle, we don’t just pollute the Earth — we waste critical resources that could otherwise be reused and reduce the need for destructive mining. Informal workers handling this waste are also victims of environmental injustice — exposed to hazardous substances without protection, and often trapped in cycles of unfair labor and poor health.

So, What Can We Do? We can all be part of the solution.

Extend product life: Repair instead of replacing, Use official collection points for old phones and laptops, and Choose reusable or modular products whenever possible. We should move away from the habit of simply throwing things away and begin fostering a culture of restoration and reuse.

[한글 번역본]

전자폐기물이 단지 쓰레기에 불과한가?

초연결된 디지털 시대에 우리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TV 등 전자기기를 끊임없이 업그레이드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 버려진 전자제품들이 어디로 가는지 한 번이라도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6,200만 톤의 전자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8,200만 톤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그 양을 트럭으로 바꾼다며, 무려 155만 대 이상으로 지구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이 중 22%만이 재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머지는 그냥 버려지거나, 비공식적인 경로로 해체되고 있다. 전자제품 속에는 납, 카드뮴, 수은 등 유독한 중금속이 들어 있다. 이것들이 땅에 묻히거나 불에 타면, 토양과 물, 공기가 오염되고 우리의 호흡기와 신경계, 그리고 아이들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된다.

특히 아프리카 가나의 아그보글로시는 세계적인 전자폐기물 해체 현장이다. 보호 장비도 없이 작업하는 사람들이 많고, 어린이까지 일을 한다. 이곳은 이미 물도 땅도 오염되어 살아가는 것조차 위협받고 있다.

인도 델리는 전자폐기물 ‘에코파크’를 만들어, 연간 5만 톤을 처리할 수 있고, 1,000개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 또, 기업들에게 최소 처리비용을 강제로 부과하는 법도 시행 중이다.

유럽은 벌써 오래전부터 ‘WEEE’ 지침을 통해 전자제품 수거·재활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산 단계부터 폐기물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로 USB-C 포트를 스마트기기에 통일하는 법도 만들었다.

버려지는 전자제품 안에는 수조 원 규모의 희귀 금속이 들어 있는데,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으면 새로 캐야 하니, 환경 파괴는 계속 이뤄지게 된다. 또한, 비공식 작업자들은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고, 불공정한 노동 속에 살아가게 된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제품 수명을 늘리기 위해 수리하여 사용하기, 폐휴대폰·노트북 수거함 활용하기, 재사용, 재활용을 생활화가 있을 것이다. 전자폐기물은 단순한 쓰레기가 아니다. 이제는 더 이상 버리는 것에 익숙해지지 말고, 되살리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