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여신·녹색채권 실무 적용 역량 강화··· 탄소중립 실현 뒷받침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는 7월 7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제1차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교육’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여신을 취급하는 금융기관과 한국형 녹색채권 외부검토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총 100여 명이 참여한다. 교육 운영은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맡았다.
교육과정은 금융권 실무자들이 녹색금융을 이해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지난해 12월 마련된 ‘녹색여신 관리지침’에 따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가 녹색여신에 적용되면서, 이에 대한 이해와 활용 역량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했다.
총 18개 과목으로 구성된 교육은 ▷녹색금융의 개념과 정책 ▷국내외 녹색분류체계 동향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경제활동 및 적합성 판단 사례 ▷녹색여신 관리지침과 실무 적용 방법 등을 다룬다. 각 강의는 관련 분야 실무 전문가들이 직접 맡아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내용을 전달한다.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녹색금융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수단이지만, 환경과 금융을 함께 이해하는 전문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교육을 통해 현장 전문성을 높여 신뢰성 있는 녹색금융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이번 교육은 금융권의 기후위기 대응 역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정한 녹색금융이 자원 배분을 유도하고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