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상태 빅데이터 분석 기반 ‘GR-PMS’ 구축, 포트홀·균열 사전 대응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도로 포장상태를 분석하고, 포트홀이나 균열 등 도로 파손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기도 도로 포장관리시스템(GR-PMS)’을 자체 개발해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GR-PMS는 기존 도로포장관리시스템(PMS)을 업그레이드한 경기도형 차세대 시스템이다. 도는 지난 2017년 PMS를 도입해 도로포장 계획부터 설계, 시공, 평가, 유지관리까지 전 주기를 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해왔다. 이후 2020년부터 AI 분석 기술을 도입해 빅데이터를 축적하고, 2023년 고도화를 거쳐 GR-PMS를 구축하게 됐다.
이 시스템은 경기도 지방도 및 국지도 51개 노선(4349km, 1차로 기준)에 대한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경기도 포장상태지표(GPCI)’를 개발하고, 수년간의 도로 상태를 종합 분석해 노선별 파손 경향을 모델화했다.

특히 구간별 포장상태 변화를 시각화한 그래프를 통해 보수 구간과 파손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도로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GR-PMS는 도로 상태를 중점관리, 부분보수, 지속관리 등 3개 그룹으로 분류해 구체적인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2024~2025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 51개 노선 중 중점관리 대상은 6개 노선, 부분보수는 28개 노선, 지속관리는 17개 노선으로 분류됐다. 이러한 분석 자료는 도로포장 유지관리 예산 편성에도 직접 활용돼 보다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이번 시스템의 기술을 31개 시군에도 전수해, 각 시군 도로에도 GR-PMS와 유사한 시스템이 적용되도록 할 방침이다.
강성습 경기도 건설국장은 “경기도 지방도는 대부분 개설된 지 30년 이상으로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라며 “GR-PMS를 통해 도로 포장 유지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군과의 기술 공유를 통해 전반적인 도로 안전 수준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