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장관, 전기버스 생산 역량 확대 점검

[환경일보]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국내 전기 상용차 생산 현장을 찾아 보급 확대 방안을 논의하며 관련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환경부는 지난 24일 오후 김성환 장관이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을 방문해 전기 상용차 제작 및 보급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들과 국내 생산 전기 상용차 보급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1995년부터 상용차 생산을 시작했으며, 2017년에는 첫 전기버스 모델인 ‘일렉시티’를 출시했다. 이어 2024년 5월에는 전기버스 생산라인을 개편해 연간 생산 능력을 약 2.5배(3600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전기 상용차 생산 역량을 한층 강화했다. 현재 전주공장은 전기와 내연기관 버스 및 트럭 등 총 17종의 상용차를 생산 중이며,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의 전기 상용차 생산기지로 꼽힌다.
이번 방문은 생산 현장의 노고를 격려하고, 전기·수소차 보급 목표인 2030년 450만대 달성을 위한 과제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장관은 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국내 생산 전기 상용차 보급에 있어 장애 요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책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국내 누적 전기·수소차 보급 대수는 약 84만5000대에 달한다. 전기차 보급은 2023년 이후 다소 둔화됐으나, 2025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환경 개선 효과가 큰 전기·수소버스의 경우 수요 둔화 없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보급된 전기버스 1만2830대 중 국산 모델은 59.6%, 수입 모델은 40.4%를 차지했다.
김성환 장관은 “전기차 산업은 단지 친환경을 넘어 국가경제의 미래를 이끌 핵심 동력이며, 수송 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국산 전기 상용차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보조금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