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AI·빅데이터 기반 정보 통합 28일부터 서비스 시작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경기기후플랫폼’이 28일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이 플랫폼은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후·환경·에너지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는 우리나라 첫 지방자치단체 주도 종합 플랫폼이다.
경기기후플랫폼은 2023년 12월 개발에 착수해 올해 7월 완성됐다.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위험지역 예측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공공·기업·도민이 이를 정책 수립, 경영 효율화, 생활 실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운영된다.
공공기관은 산사태 취약 지구 지정이나 탄소중립 목표 이행 관리 등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고, 기업은 별도의 전문 인력 없이도 국제표준 기반 탄소회계와 에너지 경영 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해 최적 요금제를 추천받을 수 있어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도민은 기후위험 등급 정보, 탄소중립 현황, 폭염대피소 위치 등 체감형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건물지붕이나 유휴부지의 태양광 도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생에너지 경제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날 도청에서 열린 개시 행사에는 경기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경기기후플랫폼은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책을 제시하는 ‘기후종합진단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기후위성 발사, 도민 이익공유형 기후펀드, 전 도민 기후보험 등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병행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