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전국배달업연합회, ‘시민참여 기반 기후적응 최적화’ 위한 협약 체결

[환경일보] 한국환경연구원(KEI, 원장 김홍균)과 전국배달업연합회(협회장 김운월)는 7월 25일(금) ‘시민 참여형 기후적응 최적화를 위한 시민·사회·경제·환경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평가기술 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본 사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 기술개발(R&D) 사업의 일환으로 2028년 12월 3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연구개발과제번호: RS-2025-02263293).
이번 협약은 심화하고 있는 기후위기 속에서 배달 노동자들의 폭염·한파 등 극한 기상 체감 영향 및 대응 대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해 시민참여형 극한 기상 대응 정책을 마련·평가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양 기관은 활동 유형별·지역별 체감 영향 분석 참여자 모집 협력, 시민 참여형 체감 영향 측정 리빙랩 운영 협력, 시민 참여형 적응 정책 평가를 위한 리빙랩 데이터 수집과 분석 결과 공유, 리빙랩 운영을 위한 장비와 인프라 시설의 공동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KEI 채여라 선임연구위원은 “체감 영향 기반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시민 데이터의 구축 및 분석이 중요하다”며 “KEI의 연구 전문성과 전국배달업연합회 참여를 통한 현장 밀착력을 결합해 체감영향 기반의 기후 위기 대응 및 적응 정책 최적화를 위한 기술을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박현일 전국배달업연합회 사무국장은 “기후위기 대응은 더 이상 특정 전문가 집단의 과제가 아니라 시민 전체가 함께 풀어가야 할 공동의 숙제”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배달업 종사자를 포함한 다양한 시민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히며, 특히 예방적인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양측은 이번 업무협약이 배달노동자들의 플랫폼에 무더위쉼터 위치 정보를 표출하고, 노동자들의 동선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쉼터 마련 및 생수 보급 등의 실질적 폭염 대응 정책을 마련해 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