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철금속협회 중심으로 품목별 영향 정밀 분석··· 업계는 맞춤형 지원 호소

미국이 수입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한다 밝힌 가운데 산업부가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수출 대응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미국이 수입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한다 밝힌 가운데 산업부가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수출 대응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7월 30일 수입 구리에 대해 무역확장법 제232조를 적용해 5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우리 정부가 즉각 업계와의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구리업계 긴급 영향 점검회의’를 열고 비철금속협회 및 주요 수출기업들과 함께 조치의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으로의 구리 수출은 전반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 따르면, 구리 제품은 동선, 동봉, 동관, 동박 등 품목이 다양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용도와 수요도 서로 다른 만큼, 품목별 영향이 크게 갈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고부가가치 동박의 경우 관세 인상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며, 일부 품목은 사실상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구리업계는 정부에 맞춤형 지원을 요청했다. 수출 타격이 예상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이나 수출보증 한도 확대 등 금융 지원을, 대체시장 확보를 위한 마케팅 및 정보 지원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정부는 이미 미국의 구리 관세 행정명령 초안이 공개된 지난 2월 25일 이후 업계 의견을 수렴해 4월 1일 미국 측에 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으며, 구리 산업을 공급망 안정화 선도사업으로 추가 지정하고 기술개발과 수출다변화 지원을 병행해 왔다고 설명했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50% 관세 부과는 업계에 상당한 부담이지만, 미국 외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 다변화와 함께 국내 생산기반 강화를 통해 타격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비철금속협회를 중심으로 품목별 영향 분석을 정례화하고, 업계 수요에 맞춘 추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