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C 2025서 스마트 물관리 성과 발표··· 캐나다 과학기술자협회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환경일보]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흐름 속에서,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물관리 분야에도 AI 등 디지털 기반 연구혁신에 박차를 가하며 그 성과를 국제무대에 공유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회 한국-캐나다 과학기술 학술대회(CKC 2025)’에 참가해 디지털 물관리 기술을 세계에 소개하고, 글로벌 연구 협력의 폭을 넓히는 활동을 진행했다.
CKC 2025는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AKCSE)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가 공동 주최하며, AI, 에너지, 우주 항공, 바이오 등 첨단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1,000여 명 이상의 과학기술인이 참여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행사에서 AI와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 성과를 국제사회에 공유하고, 세계 유수 연구자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기술 견문을 확장했다.
7월 29일부터 31일까지는 행사장 내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AI 정수장 ▷딥러닝 기반 댐 수온 예측 ▷디지털트윈 수자원 운영관리 시스템 등 주요 기술을 참가자들에게 소개했다. AI 정수장은 수질 센서와 예측 모델을 활용해 정수처리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돗물 공급이 가능하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실제 댐과 하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가상공간에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자원 운영방안을 예측하고 결정할 수 있다.
7월 31일 열린 기술 포럼 ‘Beyond AQuA EMB’ 세션에서는 수자원공사 연구진이 직접 발표에 나서, 댐의 심층수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 AI를 이용한 지능형 하천홍수 예측 시스템 등 실증 사례와 향후 개발 방향을 공유하며 북미 과학기술자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캐나다의 전력공기업인 Hydro-Quebec, 세계적 AI 연구기관 MILA, 캐나다 우주청(CSA) 등과 교류하며 AI와 에너지 융합기술 관련 협력 가능성도 모색했다.
8월 1일에는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공동연구 과제 발굴, 글로벌 우수 인재 교류, 캐나다 현지 연구자원 정보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병기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장은 “이번 CKC 2025 참가는 우리나라 디지털 물관리 기술이 세계적으로도 충분히 통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기관과 협력해 기후위기 대응과 물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