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수위관측망 총동원··· 홍수피해 예방 비상근무 돌입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3일부터 8월 7일까지 집중호우가 예보됨에 따라,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물재해종합상황실에서 홍수피해에 대비하기 위한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회의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 주재로 열렸으며, 환경부 소속 기상청, 유역(지방)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등 홍수 대응 관련 주요 기관들이 참석해 기관별 홍수대응 중점 추진사항과 계획을 점검했다.
지난 7월 16일부터 20일까지의 집중호우로 인해 28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국가하천 87곳, 지방하천 1045곳, 환경시설 74곳 등 광범위한 시설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 아직 복구가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또다시 많은 비가 예보되며, 홍수에 취약한 지점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여름휴가 중인 행락객들이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사례도 있었던 만큼, 이번 집중호우가 휴가철 새벽 시간대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행락객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2,781개 CCTV를 활용해 위험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223개 홍수특보 지점과 933개 수위관측소의 정보를 SMS, FAX, VMS, 재난안전통신망 등을 통해 관계기관 및 국민에게 신속히 전달해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부는 8월 3일 18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가 발령됨에 따라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각 소속 및 산하기관과 함께 호우 대응을 위한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한 만큼, 이번 비로 인한 추가 피해가 없도록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홍수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