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In recent years, scorching temperatures have turned from seasonal discomfort into an existential threat. Across continents, deadly heat waves are rewriting the rules of urban planning, public health, and climate resilience.

In 2022, the United Kingdom experienced its first-ever temperature exceeding 40°C, prompting railways to buckle and schools to close. In the same year, India and Pakistan endured a prolonged heat wave with temperatures soaring above 45°C, causing power shortages and agricultural collapse. Meanwhile, Phoenix, Arizona-one of the hott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recorded more than 30 consecutive days of temperatures over 43°C (110°F) in 2023. What was once considered “extreme” is now becoming the new normal.

Heat waves disproportionately impact the most vulnerable: the elderly, children, outdoor laborers, and low-income communities. In France, the 2003 heat wave claimed over 15,000 lives—many of whom were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Since then, France has implemented a national heat action plan, including public alerts, cooling centers, and door-to-door checks. It remains a model for heat preparedness today.

South Korea, too, is feeling the brunt of extreme summer temperatures. With aging infrastructure and a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country has begun expanding ‘cool shelters’ and encouraging municipalities to install reflective materials on rooftops and roads. But the gap between policy and execution remains a challenge.

Cities worldwide are racing to adapt. In Los Angeles, ‘urban heat mapping’ is helping identify heat islands—areas where concrete and asphalt trap more heat. In response, the city has painted streets white to reflect sunlight and planted over 90,000 shade trees in low-income neighborhoods.

Athens, Greece, appoint a ‘Chief Heat Officer (CHO)’ to coordinate heat wave responses. The CHO’s role is to integrate climate data, public health, and community outreach—recognizing that tackling heat waves requires cross-sectoral collaboration.

Australia’s city of Melbourne has focused on ‘urban greening’, expanding green spaces and restoring river ecosystems to naturally cool urban zones. These approaches not only reduce temperatures but also enhance residents’ mental well-being and biodiversity.

Heat waves are no longer a seasonal inconvenience—they are silent killers amplified by the climate crisis. Policymakers must move beyond short-term relief efforts and integrate heat mitigation into long-term urban planning. From climate-resilient housing to heat health early warning systems, the time to act is now.

Ultimately, combating extreme heat requires both local innovation and global cooperation. As temperatures rise, so must our ambition to build a livable future—where staying cool isn't a privilege, but a right.

[한글 번역본]

불타는 지구, 전 세계가 직면한 폭염

최근 몇 년 사이, 여름철의 불쾌한 무더위는 이제 생존을 위협하는 재난으로 변하고 있다. 전 세계 곳곳에서 치솟는 폭염은 도시계획, 공중보건, 기후 대응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2022년, 영국은 사상 처음으로 섭씨 40도를 넘는 기온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철도는 휘고, 학교는 임시 휴교에 들어갔습니다. 같은 해, 인도와 파키스탄은 45도를 넘는 극심한 폭염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전력난과 농업 붕괴를 겪었다. 미국 애리조나주의 피닉스는 2023년 한여름, 110캟(섭씨 약 43도) 이상의 기온이 무려 30일 넘게 이어지는 사상 초유의 상황을 맞이했다. 한때 ‘이례적’이라 불리던 폭염은 이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폭염은 특히 노인, 어린이, 야외 노동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게 더 큰 위협이 된다. 2003년 프랑스에서는 폭염으로 인해 15,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대부분은 홀로 거주하던 고령층이였다. 이후 프랑스는 ‘전국 폭염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폭염 경보 시스템, 냉방 쉼터 운영, 방문 건강 확인 등 다양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가장 모범적인 폭염 대응 사례로 꼽힌다.

한국도 최근 극심한 폭염에 직면하고 있다. 고령화와 낡은 도시 인프라 속에서, 정부는 ‘무더위 쉼터’를 확대하고 건물 지붕과 도로에 반사재를 설치하는 등의 대응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과 현장 실행 사이의 간극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세계 각국의 도시들은 폭염에 맞서 대응하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는 ‘도시 열지도(heat map)’를 만들어 열섬 현상이 심한 지역을 파악하고, 도로를 하얗게 칠하거나 저소득 지역에 9만 그루 이상의 그늘 나무를 심는 등 다양한 대응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스 아테네는 ‘폭염 최고책임자(CHO: Chief Heat Officer)’를 임명하여 기후 데이터, 공공보건, 지역사회 대응을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재난 대응을 넘어, 부처 간 협업을 통한 종합적인 체계 마련을 시도한 첫 사례다.

호주의 멜버른시는 ‘도시 녹지화 전략’을 통해 공원 확대와 강 생태계 복원 등을 추진하며 자연적 냉방 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기온 저감뿐 아니라 시민의 정신건강과 도시 생태계 복원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폭염은 더 이상 여름철 불편함을 넘어선 ‘조용한 재난’이다. 기후 위기의 영향 아래, 우리는 단기적 대응을 넘어서 장기적 도시계획과 통합적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냉방에 강한 주거시설, 폭염 조기경보 시스템, 공공 냉방시설 확보 등은 지금 시작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폭염 문제는 지역 기반의 실천과 글로벌 차원의 협력이 함께 필요하다. 온도가 높아지는 만큼, 우리가 지향해야 할 미래는 더욱 시급하고 분명하며, 더위로부터 안전한 삶은 선택이 아닌 기본권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