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딧물·담배가루이 확산 우려, 방충망·끈끈이트랩·약제 교차살포 필요

[경기=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멜론과 오이, 수박 등 박과 작물에 피해를 주는 황화바이러스병이 수박 재배지까지 확산되고 있어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농가에 매개충 초기 방제를 당부했다.
도 농업기술원은 지난해 평택, 용인, 양평 등 멜론 재배지 9곳을 조사한 결과, 최근 3년간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평균 발병률이 78%에 달했다고 밝혔다. 특히 박과퇴록황화바이러스는 지난해 평택 멜론 재배지에서 처음 확인된 데 이어, 올해는 용인과 양평의 수박 재배지까지 번졌다.
이 병에 감염된 작물은 잎이 황변하고 생육이 부진해져 과실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 치료약이 없어 초기에 방제를 놓치면 피해가 확산되기 쉽고, 생리장해로 오인해 대응이 늦어질 수 있다.

도는 작물 수확 이후 잔재물과 주변 잡초를 철저히 제거하고, 출입문과 측면 창에 방충망과 끈끈이트랩을 설치해 매개충 유입을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개충 밀도가 높아지는 8월과 9월에는 계통이 다른 약제를 3~7일 간격으로 2~3회 번갈아 살포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박중수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장은 “황화바이러스병은 초기에 매개충 밀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진단을 받아 정확한 관리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택 기자
echo@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