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와 개선 방안 논의

‘오존경보제’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했을 때 경보(주의보, 경보, 중대경보)를 발령해 국민들이 위험을 회피하고 건강을 보호하도록 광역시·도가 운영계획을 수립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제도이다. /사진=환경일보DB
‘오존경보제’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했을 때 경보(주의보, 경보, 중대경보)를 발령해 국민들이 위험을 회피하고 건강을 보호하도록 광역시·도가 운영계획을 수립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제도이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환경부 소속 수도권대기환경청(청장 이상진)은 8월 7일 수도권대기환경청 세미나실에서 ‘오존경보제’를 운영·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와 함께 대국민 알림체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한다.

‘오존경보제’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했을 때 경보(주의보, 경보, 중대경보)를 발령해 국민들이 위험을 회피하고 건강을 보호하도록 광역시·도(보건환경연구원)가 운영계획을 수립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제도이다.

이번 회의는 수도권 광역시·도에서 오존주의보 발령 현황을 건강 취약·민감계층(어린이, 노약자, 호흡기질환자 등)에 전파 지연 및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파체계 개선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논의 내용으로는 ▷취약·민감계층(어린이, 노약자 등)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발령·해제 알림 확대 방안 ▷자발적 정보 수요자(알림문자 신청자)의 규모와 대상 확대 방안 ▷각 기관 홈페이지에 오존주의보 발령 현황 팝업창 표출 등 대국민 알림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이다.

이상진 수도권대기환경청장은 “정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으로 오존경보제 체계를 개선해 알림 지연 또는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