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전력망 설계·통합발전소(VPP)·에너지 스타트업 성장 전략 논의

[환경일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가 8월 8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 1차 회의를 열고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위한 민관합동 협력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추진단은 지난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논의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의 신속한 실행을 목표로 구성됐다.
회의에는 산업부 2차관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 한국전력공사·전력거래소·한국에너지공단 등 유관기관, 그리고 업계·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차세대 전력망은 AI 기술을 활용해 전력 수급을 최적화하고, 전력 수요지에 인접한 마이크로그리드 공급체계를 통해 지역 내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실현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이는 계통 안정화와 송전선로 건설 부담 완화,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형 전력 공급에 최적화된 구조로, 산업단지·대학 캠퍼스·공항·군부대 등 다양한 시설에 적용 가능하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기화·AI 확산으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분산 전력망의 필요성 ▷정부·에너지 공기업·지역·민간 간 협력을 통한 신속한 기술개발과 비즈니스 창출 ▷에너지 스타트업 및 인재 육성 ▷차세대 전력망 관련 산업 생태계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이 논의됐다.
추진단 단장을 맡은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지금은 전기가 생존의 필수 조건인 ‘전자생존’ 시대”라며 “더 저렴하고 깨끗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AI 기반 차세대 전력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을 구축·연결해 전력망을 재설계하고, 통합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스타트업 성장을 이끌겠다”며 “이를 통해 에너지 산업 육성, 창업 인재 양성,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1석 3조’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