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시각에서 지역 환경·정책 진단, 실질적 권리 보장 목표

[광주=환경일보] 김성택 기자 = 광주시는 11일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재인증과 실효성 있는 아동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광주시 아동친화도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연구용역은 아동의 시각에서 지역사회 환경과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아동정책 방향과 우선순위를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착수보고회에는 시 아동보육과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과 연구진이 참석해 조사 추진 방향, 설계와 일정, 아동 참여 방안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시는 아동·보호자·교육 및 돌봄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아동친화도 표준 조사를 진행하고 시민 의견 조사도 병행한다.
조사 영역은 놀이와 여가, 참여와 존중, 안전과 보호, 보건과 복지, 교육환경, 가정환경 등 6개 핵심 분야이며, 수집된 자료는 향후 아동정책 수립의 주요 근거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는 단순한 통계 수집을 넘어 아동과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참여 기반 조사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실질적 정책과 사업을 발굴함과 동시에 유니세프 재인증을 위한 체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방세환 시장은 “아이들의 일상 속 작은 목소리에서 정책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며 “형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아동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2019년부터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왔으며, 관련 조례 개정, 추진위원회 구성, 아동권리옹호관 위촉, 권리교육 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2022년 12월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로부터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