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고위급 회의에서 제조 AX·피지컬 AI·AI반도체 공동 추진키로

산업부와 과기정통부가 AI 대전환을 위해 공동사업·정책협의체·전문가 교류 등 협력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산업부와 과기정통부가 AI 대전환을 위해 공동사업·정책협의체·전문가 교류 등 협력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AI 기반의 산업 대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본격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산업 현장의 인공지능 확산과 AI 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양 부처는 각자의 장점을 결합해 전략적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문신학 제1차관,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과 류제명 제2차관은 지난 14일 고위급 정책 협의를 갖고, AI 대전환을 위한 부처 간 협력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양 부처는 AI 기술의 진화, 특히 물리적 공간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등장으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이에 따라 독립적인 접근보다 부처 간 유기적 협력이 절실하다는 인식을 공유하며 이번 회의를 성사시켰다.

이번 회의는 양 부처 간 협력의 출발점으로, 향후 제조 AX(Autonomous X), 피지컬 AI, AI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대응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산업부는 현장 중심의 기술개발과 하드웨어 역량에 강점을, 과기정통부는 원천기술 개발과 소프트웨어 역량에 특화돼 있어, 양 부처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이 추진된다.

첫 번째 공동과제로는 지역 중심의 AX 확산을 위한 선도모델 구축이 꼽혔다. 연내 대형 프로젝트를 공동 기획해 지역 산업 현장의 AI 확산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양 부처는 지속적인 협력을 위해 차관급 ‘정책협력 협의체’를 신설하고, 공동사업 및 민관 얼라이언스 간 연계 방안 등을 집중 발굴할 예정이다.

전문가 간 교류 활성화도 핵심 협력방향 중 하나로 제시됐다. 두 부처는 산하 연구기관과 정책기관이 보유한 기술, 인력,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하고, 전문가들이 상호 부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도 확충한다. 이를 통해 현장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정책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양 부처는 이번 협의를 통해 합의한 세 가지 핵심 방향인 ▷공동사업 확대 ▷정책 협의체 구성 ▷전문가 교류 활성화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후속조치를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부와 과기정통부가 긴밀히 손을 잡음에 따라 한국의 AI 기반 산업 전환은 보다 빠르고 체계적인 진화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