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 연구에 총 1억8000만원 지원

동물과미래포럼 연구지원사업 안내 /사진제공=동물과미래포럼
동물과미래포럼 연구지원사업 안내 /사진제공=동물과미래포럼

[환경일보] 동물복지 및 동물권, 나아가 인간과 동물의 공존의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 지원사업이 문을 연다.

동물자유연대와 동물과미래포럼 준비위원회(이하 ‘동물과미래포럼(준)’)는 동물복지와 동물권을 향상하고 인간-비인간동물의 공동체에 기여하는 연구를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동물운동 단체가 직접 연구지원사업을 펼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국의 비영리기관과 동물단체는 동물 연구자를 지원하거나, 연구자와 함께 중요한 연구를 벌이기도 한다. 동물 복지와 지위 향상에는 과학적 근거 마련과 사회적 담론 확산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국 동물학대방지포럼(ASPCA)는 올해 ▷진료 접근성 ▷동물행동 ▷동물학대 ▷농장동물 복지 ▷동물의 심리적 외상 ▷동물보호소 등 6개 분야에 대해 주제를 공모해 연구비를 지원했다. 야생동물이니셔티브, 모리스재단, 영국동물복지재단 등도 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도 “최근 신진연구자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기는 하나 국내의 동물권, 동물복지에 대한 연구토대는 볼모지와 마찬가지다”며, “연구지원사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교류해, 향후에는 동물 관련 연구생태계가 우리 사회에 건강하게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첫 연구지원사업의 주제로 ‘기후변화와 동물’을 제시했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국민 안전관리 일일 상황’에 따르면, 올해 폭염으로 150만4046마리의 동물이 세상을 떠났다. 이 중 돼지는 9만1150마리, 닭, 오리 등의 가금류는 141만2896마리의 피해(2025년 8월 17일 기준, 국민 안전관리 일일상황)가 발생하였다. 인간뿐 아니라 동물 역시 기후변화로 인한 고통이 작지 않음을 보여준다.

날로 심해지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기후변화가 동물에게 주는 영향, 공장식 축산이 불러일으키는 동물복지의 위기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지원할 수 있다. 기후변화와 동물과 관련한 법·제도 등 정책적 대안 그리고 인문학적 탐구도 지원 대상이다.

연구자들은 해당 주제가 아닌 ‘자유 주제’로도 동물연구 지원사업에 신청할 수 있다. 동물의 자유 보장과 복지 증진, 유기동물 문제 해결과 야생동물 서식지 복원, 재야생화, 동물의 권리와 생태계에 관한 지식과 담론 그리고 동물 정책과 법, 제도 등 동물 및 생태계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권리를 보장하는 모든 연구가 해당한다.

지원규모는 수의·자연과학에 1억2000만원(연구주제당 최대 6000만원), 인문·사회과학분야 6000만원(연구주제당 최대 2000만원) 씩, 총 1억8000만원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